공산전투

공산전투

[ 公山戰鬪 ]

요약 927년 경북 팔공산(八公山)에서 벌어진 고려와 후백제의 싸움.
언제 927년
어디서 경북 팔공산
누가 고려의 왕건군
무엇을 후백제의 견훤군
어떻게 공격
통일신라를 구하기 위하여

927년(태조 10) 후백제의 견훤(甄萱)은 신라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였다. 그 해 9월 지금의 문경시와 영천에 있던 근암성(近癌城)과 고울부(高鬱府)를 잇따라 공략한 견훤은 계속하여 경주로 군사를 밀고나갔다. 당시 후백제의 견훤은 고려의 태조 왕건(王建)과 더불어 여러 호족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해 있었다. 이 두 세력은 외교상 화친을 맺고 있었으나 그들 사이의 대결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견훤의 공격을 받은 신라의 경애왕은 고려의 왕건에게 구원을 요청하였다. 왕건이 곧 군사를 이끌고 신라를 돕기 위하여 출전하였으나 원군이 도착하기 전에 경주는 이미 견훤의 군대에게 점령되었다. 경주에 입성한 견훤의 군사들은 온갖 약탈을 자행하고, 포석정에서 연회를 벌이고 있던 경애왕을 붙잡아 스스로 목숨을 끊도록 하였다.

뒤늦게 신라에 도착한 왕건은 견훤군을 공격하기 위하여 이들이 돌아가는 길목인 공산 동수(桐藪)에 군사를 대기시켰다. 약탈한 수많은 보물을 수레에 싣고 포로로 붙잡은 재상 영경(英景)을 비롯한 많은 관리와 기술자 등을 끌고 귀환길에 오른 견훤군은 여기서 왕건군의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전투는 공격을 한 고려군의 대패로 끝났다. 고려의 장군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이 죽고, 많은 군사가 전사했으며 왕건 자신도 간신히 몸을 피할 수 있었다. 이 전투의 승리가 얼마나 컸던가는 《삼국사기》 〈견훤열전〉에서 견훤이 왕건에게 보낸 서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전투를 시작으로 종래 표면상 유지되던 두 세력 간의 평화가 깨어지고 무력충돌이 격화되었다. 결국 이 전투는 후삼국사 전체를 통하여 보면 통일전쟁이 가속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역참조항목

지묘동, 김상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