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준

한준

[ 韓準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정여립 모반사건을 고발, 그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임진왜란 때 호조판서로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여 강원도로 피난하였고, 이후 이조판서가 되었다.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냈다.
한준 신도비

한준 신도비

출생-사망 1542 ~ 1601
본관 청주
공칙(公則)
남강(南岡)
시호 정익(靖翼)
활동분야 정치

본관 청주. 자 공칙(公則). 호 남강(南岡). 시호 정익(靖翼).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 수경(守慶)의 아들.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기용되고, 예조좌랑 ·장령(掌令) ·좌승지 ·전라도관찰사 ·호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588년(선조 21) 우참찬(右參贊) 때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중국 명나라에 다녀와서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을 고발(告發), 그 공으로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에 올라 청천군(淸川君)에 봉해졌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호조판서가 되어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여 강원도로 피난하고, 이듬해 한성부판윤이 되어, 진하 겸 주문사(進賀兼奏聞使)로 재차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조판서가 되고, 1595년 사은 겸 주청사(謝恩兼奏請使)로 명나라에 또 다녀왔다.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냈다. 글씨로는 《우언겸묘표(禹彦謙墓表)》(경기 광주)가 있다.

역참조항목

한여직묘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이미지

한준 신도비

한준 신도비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