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한국은행

[ The Bank Of Korea , 韓國銀行 ]

요약 한국의 중앙은행 겸 발권은행(發券銀行)이다.
한국은행 인천본부

한국은행 인천본부

구분 금융기관
설립일 1950년
설립목적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한 물가안정 및 금융안정
주요활동/업무 일반업무, 발권업무, 국고업무, 외국환업무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남대문로3가 110)
규모 본부부서 13국 3원과 감사실, 16개 지역본부, 5개 국외사무소

한국 최초의 중앙발권은행인 구(舊) 한국은행은 1909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1911년 일본이 '조선은행법'을 제정·공포함에 따라 같은 해 8월 조선은행으로 개칭되어 8·15광복 때까지 존속하였다. 그후에도 기본적인 성격이나 체제에 별다른 변화 없이 중앙은행으로서의 기능을 계속 수행하였으나 강력한 권한과 정치적 중립성이 보장되는 중앙은행의 설립이 요청됨에 따라 1950년 6월 새로이 한국은행을 설립하였다.

화폐발행과 통화신용정책의 수립 및 집행, 금융시스템의 안정, 은행의 은행, 정부의 은행, 지급결제제도의 운영·관리, 외화자산의 보유·운용, 은행 경영분석 및 검사, 경제조사 및 통계작성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업무는 일반업무와 발권업무, 국고업무, 외국환업무로 나뉜다. 이 중 일반업무로는 일반금융기관에 대한 예금 및 대출 업무와 공개시장 조작, 통화안정계정의 운용이 있고, 발권업무로는 한국 유일의 법화 발행기관으로서 은행권과 주화 발행 업무가 있다. 국고업무는 국고금의 수급 및 대정부 신용에 대한 업무이며, 외국환업무는 외국환 관리와 금융거래 업무를 말한다.

기구는 한국은행의 정책결정기구로서 통화신용정책 및 한국은행의 운영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금융통화위원회, 한국은행을 대표하고 그 업무를 통할하며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을 겸임하는 총재와 그를 보좌하는 부총재(1명), 한국은행의 업무를 상시 감사하는 감사(1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재를 포함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과 감사는 모두 대통령이 임명한다.

하부조직으로 2022년 기준 본부부서 13국 3원과 감사실, 지방의 광역시·도에 16개 지역본부, 미국·일본·영국·독일·중국에 5개 국외사무소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