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시스템

포드시스템

[ Ford system ]

요약 1903년에 설립된 포드자동차회사에서 H.포드에 의해 실시된 대량생산 시스템.

디트로이트공장에서 완성되었다고 하여 디트로이트 오토메이션(Detroit automation), 대량생산의 획기적 계기가 되었다고 하여 대량생산 시스템(mass production system)이라고도 한다.

생산의 표준화와 이동조립법(moving assembly line)을 내용으로 하는 생산 시스템이다. 전자는 제품의 표준화, 부품의 규격화(호환성), 전용기계의 이용으로 이루어지며, 후자의 실시를 위한 전제를 제공하였다.

포드는 대량생산 시스템의 원리를 실현하고자 제품의 개선 연구를 추진, 최선의 제품을 표준화하였는데, 그 결과 생산을 T형 자동차로 한정하였다. 그로써 원가절감에 성공하여 기록적인 매출의 성장률을 달성하였다. 다시 부품의 규격을 통일함으로써 부품의 집중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부품생산에서도 대량생산의 경제를 실현하였다.

부품의 규격화 내지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정도(精度)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전용기계의 개발과 이용을 촉진시켰다. 전용기계란 특정의 작업을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화한 기계를 뜻하며, 양산 시스템에 있어서 경제적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포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또 하나의 요소인 이동조립법은 ‘일에 사람을 가져가는’ 대신 ‘사람에게로 일을 가져가는’ 포드의 착상을 실현시킨 생산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공정의 순서대로 배치된 작업자 앞을 재료가 컨베이어에 의해 규칙적으로 통과하며, 각 작업자는 고정된 장소에서 일정한 리듬을 타고 작업에 임하는 생산 시스템이다. 그것은 생산의 직선적인, 중단이 없는 흐름을 유지하는 생산 시스템이라는 의미에서 ‘플로 작업 시스템(flow production system)’, 컨베이라는 이동조립장치가 사용되는 데서 ‘컨베이어시스템(conveyor system)’으로도 불린다.

이동조립법이 생산효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① 생산의 흐름이 직선적이며 중단이 없기 때문에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② 공정간의 운반 거리를 단축하여 재료나 재공품(在工品)의 재고를 삭감할 수 있다. ③ 작업능률은 컨베이어에 의해서 시간적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감독의 폭을 확대할 수 있다. ④ 각 공정간의 시간적 조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정이나 작업의 시간적 조정의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작업능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기계에 의해서 인간의 작업을 좌우하며, 단순노동을 증가하여 인간을 기계의 일부로 만들었다는 비난의 소리도 있었는데, 이는 과학기술의 진보와 함께 나타난 사회적 문제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