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

콩과

[ Legume family, Pea family ]

요약 속씨식물 콩목의 한 과로, 약 19,500종이 전 세계에 분포하는 매우 큰 식물군이다. 콩과 식물 대부분은 질소고정을 수행하는 뿌리혹 박테리아와 공생하며, 잎은 대개 겹잎(복엽)이고 턱잎(탁엽)이 달린다. 암술은 단심피성으로 씨방 벽의 복봉선(腹縫線)을 따라 밑씨가 달리며, 열매는 협과이다.
홍기

홍기

학명 Leguminosae, Fab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분포지역 전 세계
서식장소/자생지 산지, 숲, 능선, 초지, 해안가, 길가

속씨식물 콩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진정쌍떡잎식물-콩목(Fabales)으로 분류된다. 콩과는 약 770속 19,500여 종으로 구성되며,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주요 속으로는 자귀나무속(Albizia), 박태기나무속(Cercis), 실거리나무속(Caesalpinia), 토끼풀속(Trifolium), 싸리속(Lespedeza) 등이 있다. 최근 분자계통수 연구에서는 콩과를 6개 아과(실거리나무아과, 박태기나무아과, Dialioideae, Detarioideae, Duparquetioideae, 콩아과)로 분류한다. 산지부터 초지와 해안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곳에서 자란다.

많은 식물은 질소고정을 수행하는 뿌리혹 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땅콩(Arachis hypogaea), 콩(Glycine max), 렌즈콩(Lens culinaris) 등의 작물은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외에도 기름, 목재, 고무, 염료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도 많다. 

특징

초본, 관목, 교목 또는 간혹 덩굴식물로, 양성화주 또는 잡성주이며, 대개 뿌리혹세균과 공생한다. 잎은 호생 드물게 대생하고, 주로 우상복엽이지만 간혹 장상복엽, 3출엽 또는 단엽이며, 잎자루가 있다. 턱잎(탁엽)은 간혹 가시(엽침)로 변형된다. 꽃차례(화서)는 주로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나는데, 간혹 잎에 대생하며, 대부분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이다. 대개 포와 소포가 있다. 꽃은 양성이지만 드물게 단성이고, 대부분 좌우상칭이지만 드물게 방사상칭이다. 꽃받침잎(악편)은 4~5장이며, 서로 합쳐져서 꽃받침통(악통)을 만든다. 꽃잎(화판)은 대개 5장인데, 종에 따라서 그 모양과 배열 양식이 다르다. 수술은 기본적으로 10개이지만(콩아과) 아과에 따라 그 수가 더 적거나 무수히 많은 경우도 있다. 암술은 1개로 단심피성이고, 씨방(자방)은 상위이며, 1실 또는 드물게 2실이다. 밑씨(배주)는 1개 또는 그 이상이고, 복봉선에 달리며, 태좌는 변연태좌(變緣胎座)이다. 열매는 대부분 협과인데 양측 봉선을 따라 쪼개져 열리거나 열리지 않고, 간혹 종자 사이의 과피가 잘록하게 좁아져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38속 100종(자귀나무, 박태기나무, 토끼풀, 칡, 싸리, 애기등, 황기 등)이 알려져 있다. 남한 전역에 분포하며, 산지 및 초지와 해안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란다. 만년콩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제주도 남쪽 계곡 숲 속에 극소수 개체가 자라고 있으며, 인위적 간섭과 자생지 훼손으로 위협을 받고 있는 희귀식물이다. 이 외에도 한반도 고유종인 노랑갈퀴, 개느삼, 나래완두, 해변싸리, 솔비나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