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층나무과

층층나무과

[ Dogwood family ]

요약 속씨식물 산형목의 한 과로, 약 55여 종이 주로 북반구 온대 또는 열대에, 일부는 한대 지역에도 분포한다. 층층나무과는 교목 또는 관목, 드물게 초본으로, 어린 가지에는 흔히 엽흔(잎이 떨어진 자국)이 있다. 잎자루는 있으며, 턱잎은 없다. 총포는 꽃잎 모양으로 잘 발달하거나 작다. 꽃은 방사상칭이고, 4수성이다. 꽃받침은 통상으로, 자방에 합착하며, 얕게 4개로 갈린다. 열매는 핵과이고, 간혹 집합과이다.
산수유

산수유

학명 Corn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산형
분포지역 주로 북반구 온대 또는 열대 및 한대 지역에도 일부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산지 숲속, 숲 가장자리

속씨식물 산형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층층나무과는 층층나무목(Cornales)으로 분류된다. 층층나무과는 1속(층층나무속) 약 55종으로 구성되며, 주로 북반구 온대 또는 열대 및 한대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산지의 숲속, 숲 가장자리 등에 자란다.

가치 및 활용

산수유는 신장 기능 개선, 혈액 순환 촉진, 활력 강화 등 보고된 건강상의 이점 때문에 동아시아에서는 전통 의학에 사용되며, 서양산딸나무(Cornus florida)는 커다란 흰색 또는 분홍색 총포(꽃잎처럼 보임), 단풍, 그리고 독특한 붉은 열매로 유명한 인기 있는 원예 수종이다.

특징

교목 또는 관목, 드물게 초본으로, 낙엽성 또는 드물게 상록성이며, 양성화주 또는 드물게 자웅이주이다. 어린 가지에는 흔히 엽흔(잎이 떨어진 자국)이 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홑잎이며, 타원형 내지 장타원 또는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있으며, 턱잎은 없다. 꽃차례는 정생하고, 취산, 산방, 산형, 두상 또는 원추꽃차례이며, 총포는 꽃잎 모양으로 크게 잘 발달하거나 작고, 빨리 탈락한다. 꽃은 대개 양성화이나 간혹 단성화이며, 방사상칭이고, 4수성이다. 꽃받침은 통상으로, 자방과 합착하며, 얕게 4개로 갈린다. 꽃잎은 4장으로, 서로 떨어져 달리고, 유백색, 백색 또는 황색, 드물게 적자색이다. 수술은 4개로, 꽃잎과 어긋나고, 수술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꽃밥은 2실로, 세로로 열개한다. 암술심피는 2개(드물게 3개 또는 4개)이며, 합생한다. 자방은 하위이고, 자방실은 2~4개이다. 암술대는 1개로 원주형 또는 곤봉상이며, 암술머리는 구형, 원반형, 또는 간혹 약하게 2개로 갈린다. 밑씨는 자방실당 1개이고, 대개 중축태좌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간혹 집합과이며, 푸른색, 검은색, 흰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외과피가 육질이며, 내과피는 딱딱하다. 씨앗은 자방실의 개수와 같으며, 장타원형이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1속 7종이 알려져 있다. 산딸나무, 말채나무, 층층나무는 전국에, 곰의말채나무는 남부지방에 분포하며, 흰말채나무, 풀산딸나무는 북한에 분포한다.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산수유의 열매

산수유의 열매 층층나무과. 핵과의 타원형으로 8월에 붉게 성숙하고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출처: 이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