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 Celadon Jar with Inlaid Peony Design , 靑磁 象嵌牡丹文 壺 ]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 항아리.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20.1cm, 입지름 20.7cm, 밑지름 14.8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0.1cm, 입지름 20.7cm, 밑지름 14.8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고려시대에는 청자와 더불어 각종 동기(銅器)가 널리 사용되었던 탓에 청자의 기종(器種)과 기형(器形) 가운데는 같은 시대에 사용된 동기를 그대로 옮겨 만든 것이 많다. 이 청자 항아리도 그런 예 가운에 하나로, 양 옆에 달린 사자면(獅子面) 손잡이는 동기의 양식에서 따온 것이다. 이런 형식의 항아리는 중국 한대(漢代) 이후에 이미 있었던 동기(銅器) 양식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시골 가정에서 흔히 쓰는 물동이를 축소한 것과 거의 같은 형태이며, 시골에 따라서는 지금도 냉수방구리라고 불리는 질그릇이나 오지그릇 중에 이와 흡사한 그릇이 있다. 또 조선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분청사기, 질그릇 중에서도 이와 비슷한 모양을 간혹 볼 수 있다. 다만 다른 점은 이 모란문 항아리의 손잡이가 사자면(獅子面)으로 물려져 있고 굽다리가 나지막하게 따로 세워진 데 비해서 그것들에는 단순한 흙타래 손잡이가 붙어 있을 뿐이다. 전후 양면에 큰 모란꽃 한 송이씩을 흑백으로 큼직하게 상감하여 고아한 멋을 풍긴다. 고려청자 상감 중에서도 드물게 보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유약의 느낌이나 항아리의 형태로 보아 12세기경의 작품으로 보이는 이 항아리는 개성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에서 구워낸 것이다.

역참조항목

오지그릇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