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Celadon Gourd-shaped Ewer with Inlaid Peony Design ,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병.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34.3cm, 몸통지름 16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4.3cm, 입지름 2㎝, 밑지름 9.7cm, 몸통지름 16cm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표형 주전자는 고려자기 중에서도 비교적 그 예가 많다. 그러나 중국 당(唐)·송(宋)에서 유래된 이 표주박 형태의 병을 이토록 세련되게 양식화하고 손잡이와 귀때부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완미(完美)하게 조화시킨 것은 고려인들이 외래문화를 어떻게 주체적으로 수용해 왔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이다.

목의 윗부분에는 구름과 학무늬를 흑백상감으로 그려 넣었다. 골이 지게 패인 잘록한 목은 주름이 잡혀 있다. 병의 아래 부분 몸통에는 활짝 핀 모란과 피지 않은 봉오리, 잎들이 조화 있게 가득 채워져 있다.  

이 수병에서 볼 수 있는 청자유(靑瓷釉)는 고려인들이 이상으로 삼던 비색(翡色)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발휘한 느낌이고, 비상하는 백학과 서운(瑞雲)을 표현한 상감무늬는 그들이 환상하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자랑스러운 그들의 비색청자 빛깔 위에 구현해 본 것이다. 그리고 병의 하반신에는 도문화(圖文化)된 풍려한 모란무늬를 배지상감(背地象嵌)으로 조출(彫出)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