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

지각

[ earth crust , 地殼 ]

요약 지구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토양과 암석으로 이루어진다.
지각을 이루는 판의 종류

지각을 이루는 판의 종류

지구의 내부구조를 층으로 구분했을 때 가장 바깥쪽의 표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지표부터 모호로비치치불연속면(모호면)까지의 부분이다. 피자의 가장자리를 크러스트(crust)라 하는 것처럼 지구의 가장자리인 지각을 earth crust라 부른다.

지각의 성분

지구 전체 부피의 약 1%를 차지하며 지구 전체 질량의 0.5% 미만을 차지한다.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는 90종 이상이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산소(O), 규소(Si), 알루미늄(Al), 철(Fe), 칼슘(Ca), 나트륨(Na), 칼륨(K), 마그네슘(Mg)의 순서로서 위의 8가지 원소를 지각의 8대 원소라 한다. 지각의 8대 원소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98%이상이다.

지각 본문 이미지 1

대륙지각과 해양지각

지각은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나눈다. 대륙지각은 20~70km의 두께에 2.7g/cm3의 평균 밀도를 가지고, 해양지각은 약 5~15km의 두께에 3.0g/cm3의 평균 밀도를 가진다. 대륙지각은 Si(규소), K(칼륨) 및 Na(나트륨)이 많은 화강암암석으로 이루어지고, 해양지각은 Fe(철), Mg(마그네슘) 및 Ca(칼슘)이 많은 현무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진다. 두 지각의 밀도 차이로 인해 밀도가 큰 해양지각이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대륙지각 아래로 내려가 해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진파의 속도차로 상부지각과 하부지각으로 나누기도 한다. 상부지각에서는 P파의 속도가 6km/s이지만 하부지각에서는 6.8km/s로 빨라진다.

지각 본문 이미지 2
바다맨틀대륙지각해양지각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지각과 지각 아래의 맨틀을 구분하는 경계를 모호로비치치불연속면(Mohorovicic discontinuity; 모호면)이라고 한다. 이 면에서 지진파의 속도는 현저히 빨라진다. 이는 모호면 아래 맨틀의 밀도가 지각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지구의 내부구조 지구의 내부는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장 바깥에서부터 지각,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분합니다. 지구의 가장 바깥 층인 지각은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나뉩니다. 대륙을 이루는 대륙지각의 두께는 평균 35km, 대양의 밑바닥을 이루는 해양지각의 두께는 평균 5km로, 대륙지각이 해양지각보다 두껍게 나타납니다. 지각과의 경계 면인 모호면을 기준으로 지하 약 2,900km까지의 부분을 맨틀이라고 합니다. 지구 전체 부피의 84%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약 700km 구간을 경계로 상부맨틀과 하부맨틀로 나뉘는데, 두 곳의 온도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대류 현상은 대륙을 이동시키는 힘의 근원이 됩니다. 지하 약 2,900km부터 약 5,100km에 이르는 구간은 외핵입니다. 지진파 중 액체 상태의 물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S파가 이 곳에서 더 이상 전파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어, 외핵은 액체 상태임을 추정 할 수 있습니다. 금속성 원소인 철과 니켈이 주성분입니다. 지하 약 5,100km에서 지구 중심까지의 부분을 내핵이라고 합니다. 지진파 중 고체 상태의 물질을 통과할 때 속력이 빨라지는 P파가, 이 곳에서 속력이 갑자기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내핵은 고체 상태로 추정됩니다. 중심부의 온도는 약 6,000도에 이릅니다. 출처: doopedia

관련이미지

지각(8대구성요소)

지각(8대구성요소)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