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주가

[ stock price , 株價 ]

요약 주식의 가격.

주식은 거의 모두가 증권거래소를 거치기 때문에 주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거래소에서 형성되는 가격을 말한다. 근본적으로 주식은 회사의 주주가 가지는 권리이므로 이 권리의 가치에 따라 값도 변화한다. 주주는 우선 회사가 해마다 벌어들이는 이익 중에서 일부를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이 배당이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 주가도 높아진다. 예를 들어 액면 5,000원짜리 주식으로 배당이 매년 1,500원씩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시중 이자가 15 %라고 하면 주가는 액면의 두 배인 10,000원이 될 수 있다.
주가 본문 이미지 1
배당금이 줄어들 전망이거나 시중 이자율이 올라갈 전망이면 주가는 떨어질 것이다. 그런데 배당은 원천적으로 기업의 이익이 많아야 많이 줄 수 있고, 또 이익만 많다면 당장은 배당을 덜 주더라도 언젠가는 높은 배당을 받게 될 것이므로 이런 기업의 주가는 오르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는 주가가 1주당 이익금에 비하여 몇 배 수준에 있느냐 하는 주가수익률(株價收益率:price earnings ratio:PER)을 중시한다. 위의 예에서 그 회사의 이익금이 1주당 2,000원이었다고 한다면, 주가 10,000원은 주가수익률이 5배인 수준에서 형성될 것이다. 이 가치는 기업의 수익이 얼마나 될 것이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수익가치라고 한다. 주주는 또 회사가 해산될 때에는 빚을 갚고 남은 재산을 나누어 받을 권리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사가 적자를 내어 배당을 못하는 경우에도 자산의 가치에 상당하는 주식의 가치는 남는다. 이런 식으로 결정되는 주가를 자산가치라고 한다. 또 같은 주식이라 해도 적은 금액을 잠시 투자해서 배당과 시세차익이나 얻으려고 하는 일반 투자가와, 기업을 지배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지분(持分)을 가지고 있는 대주주의 입장은 크게 다르다. 대주주가 기업의 지배를 목적으로 필요한 여분의 주식을 사 모을 때에는, 그 주의 수익이나 자산에 비추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을 부르는 수가 흔히 있다. 개별주식으로는 위에서와 같은 발행회사 나름의 요인이 중요하지만, 실제의 주식매매는 거래소에서 다른 상장주식들과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권시장 전반의 동향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증권시장은 자금사정을 반영할 뿐 아니라, 국내외 정치 ·경제적 동향과 각 산업에 관한 정보가 잘 모아지는데, 많은 투자자가 이러한 정보에 입각한 예측에 따라 시행하는 매매를 통해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증권시장의 잦고 큰 기복이 가져오는 폐단을 줄이기 위해서 증권관리위원회 등 당국이 취하는 시황조정책(市況調整策)도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주가변동의 요인이 되고 있다. 유통시장에는 신용거래제도가 있어서 증권회사가 단기매매자금과 주식을 고객에게 빌려주고 있는데, 이러한 융자의 규모나 대상 종목의 선정, 융자의 조건 등이 모두 엄격한 당국의 통제 아래 있기 때문에 이의 조정을 통해 상당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