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정전

종묘 정전

[ Main Hall of Jongmyo Shrine , 宗廟 正殿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에 있는 사당. 1985년 1월 8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종묘 정전

종묘 정전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85년 1월 8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57, 종묘 (훈정동)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사우

1985년 1월 8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종묘는 조선 역대 국왕과 그 비(妃)의 신위(神位)를 모신 곳이며, 정전은 종묘의 중심 건물로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라 부르기도 한다.

① 정전: 정면 19칸, 측면 3칸, 맞배지붕, 일출목(一出目) 이익공(二翼工) 집이다. 1395년(태조 4)에 준공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11칸을 완공한 이래 1726년(영조 2)에 4칸, 1836년(헌종 2)에 다시 4칸을 증축하여 현재와 같은 19칸 건물 구조를 갖추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목조건물이다. 여기에 모신 신위는 제1실의 태조를 비롯하여 태종·세종·세조·성종·중종·선조·인조·효종·현종·숙종·영조·정조·순조·문조·헌종·철종·고종·순종 등 19왕과 그의 비인데, 이곳에 모시지 않은 왕의 신위는 이 건물 서쪽에 있는 영녕전(永寧殿:보물 821)에 봉안되어 있다.

② 동·서 익실(翼室): 정전 좌우에 접속시켜 지은 건물로 각각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초익공(初翼工) 양식으로 되어 있다.

③ 신문(神門) : 정전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초익공 5량가구(五樑架構)로 되어 있다. 이 문의 좌우에 잇대어 종묘의 안 담장이 둘러져 있다.

④ 동문: 정전 동쪽에 있는 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초익공 5량가구로 되어 있다.

⑤ 서문: 정전 서쪽에 있는 문으로 정면 1칸, 측면 2칸. 초익공 5량가구로 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