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익

조익

[ 趙翼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김육의 대동법 시행을 적극 주장하였고, 성리학의 대가로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병법·복서에도 능하였다. 예조판서, 대사헌, 좌참찬,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조익 선생 묘

조익 선생 묘

출생-사망 1579 ~ 1655
본관 풍양
비경
포저·존재
시호 문효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포저집(浦渚集)》,《서경천설(書經淺說)》

본관 풍양(豊壤). 자 비경(飛卿). 호 포저(浦渚)·존재(存齋). 시호 문효(文孝). 음보(蔭補)로 정포만호(井浦萬戶)가 되고, 1598년(선조 31) 압운관(押運官)으로 미곡 23만 석을 잘 운반하여 표리(表裏)를 하사받고, 1602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친 뒤 1611년(광해군 3) 수찬(修撰)으로 있을 때 이황(李滉) 등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한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하다 고산도찰방(高山道察訪)으로 좌천, 이듬해 사직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재기용되고, 1625년(인조 3) 부호군(副護軍)·형조참의를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예조판서로서 종묘를 강화도로 옮긴 후 인조를 호종하려 하였으나, 당시 실종된 아버지를 찾기 위해 호종하지 못한 죄로 처벌받았다. 1643년 재기용되어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었다. 이조·예조의 판서, 대사헌이 되고, 1648년 좌참찬(左參贊)으로 승진, 1649년 효종이 즉위하자 우의정으로 인조의 행장찬집청찬집관(行狀纂輯廳纂輯官)을 겸한 후 좌의정에 올랐다.

그 해 이이(李珥)·성혼(成渾)의 문묘종사를 상소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자 사직하였다. 김육(金堉)의 대동법(大同法) 시행을 적극 주장하였고, 성리학의 대가로서 예학(禮學)에 밝았으며, 음률·병법·복서(卜筮)에도 능하였다. 개성의 숭양서원(崧陽書院), 광주(廣州)의 명고서원(明皐書院), 신창(新昌)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저서에 《포저집(浦渚集)》 《서경천설(書經淺說)》 《역상개략(易象槪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