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질

정신병질

[ psychopathy , 精神病質 ]

요약 비정상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건전한 사회적응에 곤란을 일으키는 성격.

성격이상·정신병적 성격·정신병증이라고도 한다. 정신병질의 분류에는 시대와 국가와 학자에 따라서 여러 분류법이 있으나 최근 미국의 분류법 DSM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망상성(妄想 또는 偏執) 인격장애 : 다른 사람에 대해서 지속적인 의심과 불신을 품고 있으며, 남으로부터 피해를 입는다는 의식이 밑에 깔려 있는 성격자이다. 이런 성격자는 자신의 느낌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며 자기의 편파된 판단이 옳다고 믿고 있다. 남보기에 성격이 괴팍하고 고집이 세며, 배우자에 대해 의처증 ·의부증 등 병적 질투심을 갖는 수가 많다. 또는 남에게서 피해를 입었다고 믿기 때문에 사소한 일로 소송을 제기하는 수가 많다.

② 정신분열성 인격장애 : 타인과 의사소통은 하지만 타인에 대해서 따뜻한 감정의 소통이 없고, 타인의 감정이나 칭찬·비난에 무관심하다. 친밀한 친구가 적으며 고독을 즐긴다. 유머감각이 없고 정서가 불합리하다. 남에 대한 적대감이나 공격성을 표시하지 못하는 수가 많고 이성교제가 잘 안되며, 사회적 관계 형성이 어렵다.

③ 정신분열형 인격장애 : 조현병(정신분열병)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언어와 사고가 괴상하여 정상인과 다르다. 사고내용도 미신·육감·텔레파시·독심술 등의 마술적 사고에 심취하고, 이상한 유사종교에 심취하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고립하고 모든 주변 일을 자기와 관련지으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타인에 대하여 냉담하고 불충분한 감정소통을 하며, 편집성 사고(偏執性思考)를 하고 지나치게 사회적 불안을 느낀다. 그렇지만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증세는 없다.

④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 외부에 대한 반응이 과민하여 자기를 실제 이상으로 과시하는 경향이 있다. 대인관계도 피상적이고 불성실하여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며, 특히 성심리(性心理)가 미숙한 것이 특징이다. 이론보다도 감정을 노출시키고 이기적이며, 쉽게 흥분하고 쉽사리 우울해진다. 언어나 행동이 이기적이고 연극적이다. 이런 성격자는 약물중독에 잘 빠지고 연극적 자살기도, 우울증, 일과성 정신병을 잘 일으킨다.

⑤ 자기애적 인격장애(自己愛的人格障碍) : 자기만을 생각하고 자기만을 사랑하며 가족이나 주위 사람의 관심과 사랑과 칭찬을 독점하려는 경향이 짙다. 타인에 대한 약속도 잘 지키지 않으며, 타인의 권리나 사정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이 성격자는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와 겹치는 수도 많다.

⑥ 반사회적 인격장애 : 사회의 규율과 도덕률(道德律)에 반항하여 사회질서의 파괴, 타인의 권익을 침해하는 성격자이다. 반사회적 행동은 대개 15세 이전에 나타나기 쉽다.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므로 정신과적 진료대상이 되며, 그런 행동의 반복으로 경찰서교도소 출입을 하는 수가 많다. 범법자의 60%가 반사회적 성격자라는 통계도 있다. 학교에 다닐 때에도 이유없이 잦은 결석·가출·폭행, 무분별한 성행위, 담배 및 약물남용, 절도 등을 일삼고, 성인이 된 후에도 직업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주 바꾸며, 결혼생활에서도 별거·이혼을 자주 한다. 반사회적 행동에 대해 나빴다고 시인하지 않고 자기행위를 정당화시키려고 변명한다. 성장한 뒤에도 직업에의 적응실패를 거듭하며, 책임감이 없고, 결혼생활에 파탄을 일으키기 쉽다. 이런 자의 반사회적 행동이 정신지체(정신박약)·조현병(정신분열병) 또는 조병(躁病)에 기인하지 않는 경우만 여기에 속한다.

⑦ 경계성(境界性) 인격장애 : 기분이나 행동, 대인관계, 자기에 대한 평가나 느낌이 꾸준하지 못하고 변덕을 잘 부린다. 대인관계는 지나친 기대에서 가깝게 접근했다가 금방 원망하며 떨어져나가는 극단적인 양상을 반복한다. 행동은 즉흥적이고 기분은 변동이 심하여 정상적인 기분으로부터 곧 우울과 분노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 신체적 자해행위를 하며, 인생의 목표와 가치관에 대해 주체성을 찾으려고 노력하나 늘 혼란해져서 항상 공허감·권태감에 사로잡혀 있다.

⑧ 회피성 인격장애 : 타인이 자기를 싫어하고 거부하지 않을까 하는 데에 너무 정신을 곤두세워 원만한 대인관계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성격자를 말한다. 남이 자기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서 예민하여 사소한 일에 모욕감과 실망감을 느낀다. 자존심이 약하여 사회참여가 어렵고 직업에 실패하는 수가 많다. 18세 이하는 여기에 넣지 않는다.

⑨ 강박성 인격장애 : 만사를 질서·규칙·정확성·완벽성에 너무 집착하며 인정사정이 없는 성격자이다. 융통성이 적으며, 합리적이고 형식적이어서 대인관계는 지배와 복종관계를 찾는다.

⑩ 피동공격성(被動攻擊性) 인격장애 : 자기욕구가 만족되지 못할 때 직선적으로 요구하지 못하고 삐뚤어지고 음성적인 반항이나 사보타지를 하는 성격자이다. 이런 성격자는 우울증이나 알코올중독에 빠지는 수가 많다.

⑪ 혼합형 : 위에 말한 어떤 형에도 속하지 않거나 또는 여러 인격장애가 섞여 있는 성격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