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선속

전기선속

[ electric flux , 電氣線束 ]

요약 전기장 속에서 전기장의 수직인 가상의 면적에 작용하는 전기력을 나타내는 물리량. 전기력선에 수직인 면을 지나가는 전기력선의 갯수를 일컫는다.

'전기다발', '전기선다발', '전속(電束)', '유전속(誘電束)'이라고도 한다. 자기장인 경우 자기력선에 대해서 자기선속(磁氣線束)을 생각한 것에 대응한다. MKS 유리단위계(有理單位系)에서는, Q C의 전하에서는 매질의 여하에 불구하고 Q 개의 전기선속이 나와 -QC의 전하로 그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단위면적당의 전기선속의 수를 전기선속밀도라고 하며 기호는 D, 단위로는 c/m2를 사용한다. Q C의 전하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 r m의 구면(球面)을 지나는 전기선속은 Q 개이므로 구면상의 전기선속밀도는 D=Q/4πr2=εE(c/m2) 로 된다. 단 E(V/m)는 전기장의 크기, ε는 매질의 유전율(유전체의 고유의 값)이다.

패러데이나 맥스웰의 매질이론에서 진공은 일종의 유전체로서 전기장에 따라 분극(分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물질이 있으면 분극은 더욱 촉진되는 것으로 여겨져 이 분극을 전기변위라 했으나, 현재는 진공의 분극은 고려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