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시

자유시

[ free verse , 自由詩 ]

요약 형태상으로 정형시(定型詩)와 상대적인 입장에 서는 것으로서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표현으로 작자의 감정이 표현된 시.

정형시에서는 시의 한 단위가 보(步:foot)와 행(行:line)으로 이루어지나, 자유시형은 그것이 연(聯:stanza)으로 된다. 따라서 보다 산문에 가까운 산문시도 자유시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나, 대개는 이를 구별하여 인용한다. 자유시의 형식은 그 기원을 멀리는 성서의 《아가(雅歌)》에서 찾을 수 있고, 가까이는 프랑스의 보들레르가 산문시 《파리의 우울:Spleen de Paris》(1869) 서문에서 자유시 정신을 부르짖음으로써 출발하였다. 자유시가 정형시의 성립조건에서 탈피한 이유는 근대정신이 운율의 법칙이나 일정한 어수(語數)의 틀 속에 갇혀 있을 수 없을 만큼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발달과 더불어 민중의 생활과 그 율동을 함께 하기 위한 때문이었다. 또한 자유시가 대두한 다른 하나의 직접적인 계기는 음악성을 부정하는 점에 있었다. 그러나 리듬을 전혀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언어가 지니는 음의 의미를 통해서 형성되는 이미지의 예술성이 그 생명을 이룬다. 이를 가리켜 불규칙의 리듬, 곧 자유율(自由律) 혹은 내재율(內在律)이라고 일컫는다.

한국의 근대문학사에 있어 자유시의 첫 작품은 대개 1919년 《창조》지(誌)에 발표된 주요한(朱耀翰)의 <불놀이>를 꼽는다. 그러나 1918년 11월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에 발표된 김억(金億)의 <봄>과 <봄은 간다> 등 두 작품은 이미 자유시의 형태를 이룬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1918년 무렵부터 한국의 현대시(現代詩)는 자유시의 영역으로 들어서기 시작하였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초창기 한국 문단에서 자유시를 창작한 주요 시인으로는 김억 ·주요한 ·남궁 벽(南宮璧) ·홍사용(洪思容) ·이상화(李相和) ·김소월(金素月) ·한용운(韓龍雲) ·김동환(金東煥) 등이 있다.

참조항목

내재율,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