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해

이불해

[ 李不害 ]

요약 조선 중기의 화가. 그의 그림은 거의 전하지 않아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경향이 있는데, 윤두서(尹斗緖)는 《화단(畵斷)》에서 “그의 그림은 해박하고 정밀한 점에서는 안견(安堅)에 버금가나 활달한 맛은 오히려 그보다 낫다”고 논하였다. 《예장소요도》는 남송의 마하파(馬夏派) 양식에 북송의 화풍을 곁들인 절충적 경향을 띠었고, 《산수도》는 이러한 경향과 함께 절파풍(浙派風)의 영향도 보이고 있다.
출생-사망 1529 ~ ?
태수(太綏)
활동분야 예술
주요작품 《예장소요도》 《산수도》 《기려독행도(騎驢獨行圖)》

태수(太綏). 가계와 행적 등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그의 그림 역시 전하는 것이 많지 않아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경향이 있는데, 윤두서(尹斗緖)는 《화단(畵斷)》에서 “그의 그림은 해박하고 정밀한 점에서는 안견(安堅)에 버금가나 활달한 맛은 오히려 그보다 낫다”고 논하였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와 개인 소장의 《산수도》 《기려독행도(騎驢獨行圖)》 등이 전하며, 《예장소요도》는 남송의 마하파(馬夏派) 양식에 북송의 화풍을 곁들인 절충적 경향을 띠었고, 《산수도》는 이러한 경향과 함께 절파풍(浙派風)의 영향도 보이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