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애

응애

[ mite ]

요약 거미강 진드기목 가운데 후기문아목(Metastigmata)을 제외한 거미류의 총칭.
응애

응애

동물
절지동물
거미류
종수 3만 종 이상
크기 1∼2mm
부속지수 8개(다리)
생식 난생
생활양식 기생생활 등
서식장소 식물체·동물체·사막·툰드라·고산·동굴·온천·바다밑 등
분포지역 전세계

몸길이 1∼2mm의 작은 동물군이다. 응애라는 말은 본래 평안도에서 전라남도 순천에 이르는 사과 재배지대의 사과나무에 기생하는 사과응애를 말하는데, 1902년 이래 영어 ‘mite’에 해당하는 표준어로 채택되어 널리 쓰이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는 100만 종 이상의 동물들이 살고 있지만 응애류만큼 모양·서식지·행동이 다양한 것도 드물다.

특히 다른 거미류와 달리 기생 습성이 고도로 진화했는데, 어떤 종은 전적으로 식물에만 기생하는가 하면 어떤 종은 척추동물무척추동물들과 복잡한 기생 관계를 맺고 있다. 또 일부는 식물질을 분해하여 영양물질의 순환에 큰 역할을 하기도 하고 직간접적으로 인간에게 해로운 동물을 잡아먹어 인간생활에 유익한 것도 있다.

그런가 하면 농작물이나 가축에 기생하여 직접 경제적 손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동식물의 병원체를 옮기고 다녀 인체에 해로운 것도 있다. 서식지는 사막·툰드라·고산·동굴·온천·바다밑 등 거의 모든 환경에 걸쳐 있다. 현재까지 3만 종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앞으로도 끊임없이 새로운 종이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

형태면에서는 다른 거미류가 머리가슴과 배 사이가 잘록하여 몸이 2부분으로 나뉘는 것과 달리 머리·가슴·배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다. 또한 거미류에 딸린 4쌍의 다리가 있는 동물인데도 유충 기간 동안에는 3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흔하다.

응애 본문 이미지 1 

진드기목의 분류 체계는 학자에 따라 이견이 많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에 따르면 단모류(單毛類)의 배기문아목(背氣門亞目)·사기문아목(四氣門亞目)·중기문아목(中氣門亞目)·후기문아목(後氣門亞目)과 복모류(複毛類)의 전기문아목(前氣門亞目)·무기문아목(無氣門亞目)·은기문아목(隱氣門亞目)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후기문아목이 진드기이고 나머지가 응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