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

유관

[ 柳寬 ]

요약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조선의 개국원종공신이 되어 대사성·형조전서·대사헌 등을 지냈다. 춘추관지사로서 《태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고려사》를 개찬하였다.
출생-사망 1346 ~ 1433
본관 문화(文化)
몽사(夢思) ·경부(敬夫)
하정(夏亭)
시호 문간(文簡)
별칭 초명 관(觀)

자 몽사(夢思)·경부(敬夫). 호 하정(夏亭). 초명 관(觀). 시호 문간(文簡). 고려 명종 때의 문신 공권(公權)의 7대손이며, 삼사판관(三司判官) 안택(安澤)의 아들이다. 1371년(공민왕 20) 문과에 급제하여 전리정랑(典理正郞)·전교부령(典校副令)·성균사예(成均司藝)·사헌중승(司憲中丞)을 역임하였다. 1392년 조선이 개창되자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어 신왕조에 참여하였고, 1397년(태조 6)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대사성, 이어 형조전서·이조전서 등을 지냈다. 1400년(정종 2)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전라도관찰사로 옮겼다. 1401년(태종 1) 대사헌이 되어 불교를 배척하는 상소를 올렸고, 이어 간관을 탄핵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어 문화에 유배되었다.

그 후 사면되어 1406년 공안부판사(恭安府判事)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9년 예문관대제학으로 춘추관지사(春秋館知事)를 겸하여, 이듬해 《태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18년(세종 즉위) 다시 예문관대제학으로 경연지사(經筵知事)를 겸하였고, 1423년 다시 춘추관지사를 겸하여 정도전(鄭道傳) 등이 편찬한 《고려사》를 개찬하라는 명령을 받고 이듬해 개찬작업을 완료하였다. 1426년 우의정으로 치사하였다. 성품이 소탈하고 청렴결백하여 황희(黃喜)·허조(許稠)와 함께 세종대의 대표적인 청백리로 꼽혔다. 평생 학문에 힘써 경사(經史)에 밝고 시문에 능했다. 황해도 문화에 있는 정계서원(程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하정유집》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