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치싸움

웅치싸움

[ 熊峙─ ]

요약 임진왜란 때 전라북도 전주 외곽 웅치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싸움.

진안(鎭安)을 거쳐 웅치를 넘어 전주로 들어가려는, 안고쿠지 에케이[安國寺惠瓊]가 지휘한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김제군수 정담(鄭湛), 해남현감 변응정(邊應井), 나주판관 이복남(李福男), 의병장 황박(黃璞) 등은 웅치에 진을 쳤다. 1592년(선조 25) 7월 7일 수천 적군을 맞아 첫날 분전 끝에 격퇴하였다. 8일 아침 왜군은 전병력과 화력(火力)을 동원 전면공격하여, 백병전이 전개되었다. 조선군 제1선, 제2선이 무너지고 마지막 제3선도 정담의 전사로 무너졌다. 싸움이 끝난 뒤 왜군은 조선군의 시체를 모아 큰 무덤을 만들고, 표목(標木)을 세워서 “조선의 충신 의사들의 영혼을 조상하노라(弔朝鮮國忠肝義膽)”라고 써 놓았다. 싸움의 승리로 왜군은 전주로 들어갈 길을 뚫었으나, 조선군의 기개에 눌려 전주성 밖에 머물다가 성을 공격하지 못하고 물러갔다.

역참조항목

변응정, 위대기, 만덕산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