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평

운수평

[ 惲格, 惲壽平 ]

요약 중국 명말 청초의 문인화가. 서숭사(徐崇嗣)를 본으로 하고 몰골(沒骨)의 사생화풍에 명려한 부색(賦色)을 하여 수묵적인 운필로 새로운 화면을 개척하였다. 운격은 상주파에 속하며 명대로부터의 화조화에 새로운 몰골사생화태(沒骨寫生畵態)를 가미하여 발전시켰다. 화조화는 풍부한 색채에, 금빛 바림이나 가는 선의 밀화적 묘법을 가미한 격조 높은 것으로, 인상파적인 빛의 감각이 지적되고 있다.
출생-사망 1633 ~ 1690
수평(壽平)
남전(南田)
국적 중국
활동분야 미술
출생지 중국 장쑤성[江蘇省] 무진(武進)
주요작품 《화훼화책(花卉畵冊)》

자 수평(壽平). 호 남전(南田). 장쑤성[江蘇省] 무진(武進) 출생. 처음에는 수묵산수화를 즐겨 그렸으나, 왕석곡(王石谷)의 그림을 본 후 화조화에 전념하였다. 서숭사(徐崇嗣)를 본으로 하고 몰골(沒骨)의 사생화풍에 명려한 부색(賦色)을 하여 수묵적인 운필로 새로운 화면을 개척하였다. 청초의 화조화에는 황씨체풍(黃氏體風) ·서씨체풍 및 상주파풍(常州派風)이 있었는데, 운격은 상주파에 속하며 명대(明代)로부터의 화조화에 새로운 몰골사생화태(沒骨寫生畵態)를 가미하여 발전시켰다. 산수화에는 소품이 많으며, 종이의 질과 모필의 성격을 잘 살렸다. 화조화는 풍부한 색채에, 금빛 바림이나 가는 선의 밀화적 묘법(密畵的描法)을 가미한 격조 높은 것으로, 인상파적인 빛의 감각이 지적되고 있다. 《화오석양도권(花隖夕陽圖卷)》 《화훼화책(花卉畵冊)》 등의 대표작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