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림위

우림위

[ 羽林衛 ]

요약 조선시대 금군(禁軍)의 하나.

초기에는 단위 금군이었으며, 중기 이후 금군청(禁軍廳) ·용호영(龍虎營) 3위(衛)의 하나가 되었다. 1492년(성종 23) 4월 금군으로서는 가장 늦게 설치하였다. 당시 설치 절목(節目)에 따르면, “지배계층 첩의 자손이 무재(武才)가 뛰어나도 갑사(甲士) 이외는 속할 곳이 없어 따로이 1위(衛)를 설치한다”고 하여, 서얼(庶孽)을 흡수하고 부족한 금군을 확충하기 위한 것이었다. 초기에 이들은 50명이 3교대로 복무하였으나, 뒤에 가서 장번(長番)으로 근무하였다. 지위는 내금위(內禁衛) ·겸사복(兼司僕)보다는 못하나 갑사(甲士)보다는 위이다. 10명을 1령(領), 3령을 1정(正)으로 편제, 번장(番將)이 정(正)을 통솔하고 별장(別將)은 휘하에 5명 번장을 거느렸다. 1666년(현종 7) 내금위 ·겸사복과 함께 금군청에 속하였다. 이때는 우림위장(羽林衛將:정3품) 2명이 통솔, 정원은 200명이었다. 1755년(영조 31) 내금청이 용호영으로 개칭됨에 따라, 용호영에 소속되었다.

역참조항목

남정규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