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친왕

영친왕

[ 英親王 ]

요약 고종의 일곱째 아들로 1907년 형인 순종이 즉위한 뒤에 황태자가 되었고, 1926년 순종이 죽은 뒤에는 이왕의 지위를 계승했다. 1907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왕족인 마사코와 정략결혼을 하였으며, 일본 왕족으로 대우를 받으며 일본군 장성을 지냈다.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과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과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출생-사망 1897 ~ 1970.5.1
본관 전주(全州)
명휘(明暉)
본명 이은(李垠)
활동분야 정치

이름은 은(垠), 아명은 유길(酉吉), 호는 명휘(明暉)이다.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 엄씨(嚴氏)이다. 1900년 영친왕(英親王)이라는 봉호(封號)를 받았으며, 1907년 이복형인 순종(純宗)이 자식이 없는 상태에서 황위에 올랐을 때 형인 의친왕(義親王)을 제치고 황태자가 되었다. 그리고 1910년 일제의 국권침탈로 순종이 ‘이왕(李王)’으로 불리게 된 뒤에는 ‘이왕세자(李王世子)’가 되었다가 1926년 순종이 죽은 뒤에는 제2대 이왕으로 즉위하였다.

1907년 황태자가 된 뒤에 통감(統監)으로 부임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후견인으로 삼아 일본으로 건너가 생활했으며, 1911년 일본의 육군유년학교(陸軍幼年學校)에 입학하였다. 1915년에는 일본의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에 입학하여 1917년 졸업하였다. 1920년 일본의 왕족인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 方子, 한국이름 이방자)와 결혼하여 이듬해 아들을 낳았으나, 첫째아들인 이진(李晉)은 1922년 한국을 방문하던 중에 죽었다.

1926년 순종이 죽자 창덕궁(昌德宮)에서 이왕(李王)의 자리에 올랐으나 곧바로 일본으로 건너갔다. 1931년 둘째아들인 이구(李玖)를 낳았고, 일본 육군 장교로 복무하여 1940년 육군 중장이 되었다. 1943년 일본의 제1항공군(第1航空軍)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복무하다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뒤에 예편되었다. 그리고 1947년 일본 헌법이 시행되면서 이왕의 지위를 상실했으며, 그해 10월 18일에는 일본 왕족의 명단에서도 제외되어 일본 국적도 잃었다.

영친왕은 상해임시정부로의 망명까지 추진하며 반일정신을 고수한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을 제치고 일제의 영향으로 황태자의 자리에 올랐을 뿐 아니라, 일본 왕족과 결혼하고 일본군 장성을 지내는 등 일제에 순응하는 무기력한 삶을 살았다. 그래서 영친왕의 한국으로의 귀환은 반대에 부닥쳐 실현되지 않았다. 결국 그는 1957년 일본 국적을 취득하였고, 미국으로의 이민을 추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들인 이구의 대학 졸업식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1959년 3월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다시 일본으로 돌아왔다. 그러다 5·16군사정변이 일어난 뒤인 1962년 12월 15일 한국 정부에 의해 영친왕 부부의 대한민국 국적 회복이 고시되면서 이듬해인 1963년 11월 22일 병세가 악화된 상태에서 한국으로 귀국했다. 그 뒤 병상에 있다가 1970년 5월 1일에 사망하여 고종이 묻혀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의 홍유릉(洪裕陵) 영원(英園)에 안장되었다.

사후에 전주이씨대동종약원(全州李氏大同宗約院)이 그에게 의민(懿愍)이라는 시호(諡號)를 붙여 의민황태자(懿愍皇太子)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문중에서 사적으로 붙인 것으로 공적인 시호는 아니다.

친왕(親王)은 본래 황제가 귀비나 후궁들 사이에서 낳은 아들에게 붙이는 호칭으로, 시대에 따라서는 황태자를 제외한 황제의 아들이나 황제의 형제들에게 사용되기도 했다. 《고종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1900년(고종 37) 8월 8일 탁지부 대신인 조병식(趙秉式)이 친왕(親王) 봉호망단자(封號望單子)에 관해 고종에게 보고하자, 고종이 직접 의친왕과 영친왕의 봉호를 정했다고 전해진다. 곧 영친왕은 이은(李垠)의 대한제국 당시의 공식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