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간

어간

[ stem , 語幹 ]

요약 굴절하는 단어에서 변화하지 않는 부분.

한국어의 용언과 같이 굴절하는 단어는 한 단어의 개념적 의미를 갖는 어간과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어미로 구성되는데, 어미는 문법적 기능에 따라 변화하지만 어간은 한 단어의 개념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고 고정된 요소로 나타난다.

따라서 한 단어의 어형변화표(paradigm)에서 굴절어미를 제외하고 남은 고정된 요소가 곧 어간이다. 예를 들어 동사 ‘잡다’의 어형변화표 ‘잡-다, 잡-느냐, 잡-아라, 잡-자, 잡-는구나…’에서 어미 ‘-다, -느냐, -아라, -자, -는구나…’를 제외하고 남은 고정된 요소 ‘잡-’이 이 동사의 어간인 것이다.

굴절은 체언이 어미 변화하는 곡용과 용언이 어미 변화하는 활용으로 나누어지므로, 이에 따라 이론상으로는 어간도 곡용어간과 활용어간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한국어문법, 특히 학교문법을 포함하여 제2유형의 체계를 가지는 문법에서는 체언의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요소를 어미가 아닌 단어로 보아 곡용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를 갖는 문법에서는 곡용어간이라는 말 대신 그냥 체언이라고 부르며, 어간이라고 할 때는 대체로 활용어간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어간과 유사한 것에는 어근(語根)이 있는데 어간은 굴절의 한 요소이나, 어근은 파생의 한 요소이다. 가령 동사 ‘잡히다’의 어간 ‘잡히-’는 ‘잡-’에 파생접사 ‘-히-’가 붙어 형성된 것인데, 이때의 ‘잡-’은 어근이라고 한다. 따라서 어간은 동사 ‘잡다’의 ‘잡-’처럼 어근 그 자체일 수도 있고, 동사 ‘잡히다’의 ‘잡히-’처럼 어근에 파생접사가 붙어서 된 것일 수도 있다.

참조항목

문법, 언어학, 한국어

역참조항목

곡용, 어근, 어미, 활용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