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언

양사언

[ 楊士彦 ]

요약 조선 전기의 문인 ·서예가. 자연을 즐겨, 회양군수 때 금강산(金剛山) 만폭동(萬瀑洞) 바위에 ‘봉래풍악원화동천(蓬萊楓嶽元化洞天)’ 8자를 새겼는데 지금도 남아 있다. 시(詩)와 글씨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와 큰 글자를 잘 써서 안평대군(安平大君) ·김구(金絿) ·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로 불렀다.
양사언선생 묘

양사언선생 묘

출생-사망 1517 ~ 1584
본관 청주(淸州)
응빙(應聘)
봉래(蓬萊) ·완구(完邱) ·창해(滄海) ·해객(海客)
주요저서 《봉래시집(蓬萊詩集)》

본관 청주(淸州). 자 응빙(應聘). 호 봉래(蓬萊) ·완구(完邱) ·창해(滄海) ·해객(海客). 1546년(명종 1)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로 급제, 대동승(大同丞)을 거쳐 삼등현감(三登縣監) ·평창군수(平昌郡守) ·강릉부사(江陵府使) ·함흥부사 ·철원군수 ·회양(淮陽)군수를 지내는 등 지방관을 자청하였다. 자연을 즐겨, 회양군수 때 금강산(金剛山) 만폭동(萬瀑洞) 바위에 ‘봉래풍악원화동천(蓬萊楓嶽元化洞天)’ 8자를 새겼는데 지금도 남아 있다. 안변(安邊)군수로 재임 중 익조(翼祖)의 무덤인 지릉(智陵)의 화재사건에 책임을 지고 귀양갔다가, 2년 뒤 풀려나오는 길에 병사하였다. 시(詩)와 글씨에 모두 능하였는데, 특히 초서(草書)와 큰 글자를 잘 써서 안평대군(安平大君) ·김구(金絿) ·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로 불렀다. 그의 시풍은 이별과 상사(相思)의 서정적인 시와 낭만적인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들로서 16세기 문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품집에 《봉래시집(蓬萊詩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