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구체

10구체

[ 十句體 ]

요약 전후 양절을 나누어 전절(前節) 8구에 후절(後節) 2구로서, 모두 10구로 된 향가의 형식.

4구체와 8구체에서 발전하여 향가로서의 형식이 거의 완성된 단계의 형태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혜성가(彗星歌)> <원왕생가(願往生歌)> <원가(怨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제망매가(祭亡妹歌)> <안민가(安民歌)>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우적가(遇賊歌)> 등 8수와 《균여전(均如傳)》에 수록된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가 이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