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절윷놀이

시절윷놀이

요약 황해도 장연 지방에서 정월 대보름에 즐겨온 민속놀이.

행사에 앞서 벌이는 윷놀이를 통해서 그해 농사의 흉풍을 점치는 까닭에 이와 같이 부른다. 또 이 놀이에는 씨 뿌리는 동작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어 '종군(種軍)놀이' 또는 '부종군(付種軍)놀이'라고도 한다.

정월 초 열흘께에 이르러 마을 사람들은 이 행사를 이끌어 갈 '소탄관'(소를 타고 지휘하는 관원이라는 뜻)을 뽑고 여러 가지 준비에 들어간다. 대보름날 아침 '산패'와 '들패'로 나눈 마을의 젊은이들은 각기 2~3명의 대표를 뽑으며, 이들은 수숫대로 만든 작은 윷을 가지고 시절윷놀이를 벌인다. 사람들은 자기들 대표가 윷가락을 던질 때마다 응원의 함성을 지르고 농악대는 잦은 가락을 울려서 분위기를 돋운다. 승리는 미리 작정해둔 점수를 먼저 딴 쪽에 돌아가는데 산패가 이기면 밭농사가, 들패가 이기면 논농사가 잘 되며 양쪽이 비슷한 점수를 얻으면 두 가지 농사가 다 잘 되리라 여긴다.

윷놀이가 끝나면 사람들은 소탄관을 앞세우고 행렬을 시작한다. 소탄관은 꽃으로 꾸민 구럭을 쓰고 짚으로 뜬 부채를 든 모습으로 소를 타며, 소도 가지각색의 천과 꽃으로 치장을 한다. 이어 농악대가 늘어서고 농악대 뒤로 쟁기 ·호미 ·괭이 ·도리깨 ·광주리 따위의 가장물을 메거나 든 사람들이 따른다.

한 사람이 나서서 “에기혀 에헤야 방아로구나/이게 누구의 방아인가/단군 어른 조작 방아일세…” 하고 방아타령을 메겨나가면 사람들은 한 구절이 끝날 때마다 “에헤야 방아로구나” 하며 받는다. 메기는 사람은 이어 농사를 지어나가는 과정과 함께 풍년을 맞는 기쁨을 즉흥적으로 엮어나간다. 이들이 읍에 이르면 구경꾼들이 환성을 질러 맞는다. 옛 동헌 앞 마당에 이르러 소탄관이 “춘분이 되었으니 밭 갈고 씨 뿌리세” 하면 사람들은 “예 해야지요” 답하고 이어 농부가를 부른다. 가을걷이와 마당질을 하는 동작으로 넘어가 ‘풍년맞이’로 들어가면서 이 놀이는 절정에 이른다.

관중들 중에 놀이판에 끼여들어 사자춤판을 벌이는 사람도 있다. 놀이가 끝나면 사람들은 마을로 돌아와 새벽까지 춤추고 노래부르며 즐긴다. 시절윷놀이는 농사의 고달픔과 풍년의 즐거움이 함께 표현된 농민들의 큰 잔치이다.

역참조항목

농점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