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

송인

[ 宋寅 ]

요약 조선 중기 학자. 이황 · 이이 · 성혼 등 당대의 석학 들과 교유했고,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을 맡았다. 글씨에도 능하여 해서를 잘 썼으며 수많은 글을 짓고 썼다. 글씨에〈덕흥대원군신도비〉,〈송지한묘갈〉,〈황산대첩비〉,〈김석옥묘비> 등이 있다.
송인 신도비

송인 신도비

출생-사망 1516 ~ 1584
본관 여산
명중
이암·녹피옹
시호 문단
활동분야 문학
주요저서 《이암집》

본관 여산(礪山). 명중(明仲). 호 이암(頤  庵) ·녹피옹(鹿皮翁). 시호 문단(文端). 1526년(중종 21) 중종의 셋째 서녀(庶女) 정순옹주(貞順翁主)와 결혼, 여성위(礪城尉)가 되고 명종 때 여성군(礪城君)에 책봉되었다. 의빈부(儀賓府) ·충훈부(忠勳府) ·상의원(尙衣院) 등에서 요직을 역임한 후, 도총관(都摠管)에 이르렀다. 이황(李滉) ·이이(李珥) ·성혼(成渾) 등 당대의 석학(碩學)들과 교유했고, 만년에는 선조의 자문을 맡았다.

글씨에도 능하여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수많은 글을 짓고 썼다. 필적은 모간(摸刊)한 것이 전해지고 있다. 글씨에 〈덕흥대원군신도비(德興大院君神道碑)〉(楊州) 〈송지한묘갈(宋之翰墓碣〉(楊州) 〈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南原) 〈김석옥묘비(金錫沃墓碑)〉(扶安) 〈김공석묘갈(金公奭墓碣)〉(驪州) 〈영상한효원비(領相韓效元碑)〉(楊州) 〈영상홍언필비(領相洪彦弼碑)〉(南陽) 〈좌참찬심광언비(左參贊沈光彦碑)〉(廣州)가 있고, 문집 《이암집(頤  庵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