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력

세계력

[ world calendar , 世界曆 ]

요약 현재 사용되는 그레고리력은 계절은 맞으나, 불규칙한 한 달 길이, 윤일 등 여러 불편함이 있어서 이를 줄이기 위해 구상된 새로운 역법이 세계력이다. 월의 대소를 조정하고, 역일과 요일을 결합하였으며 매월 근로일수를 균일하게 하였으나, 많은 나라의 반대에 부딪혀 실용되지 못하였다.

그레고리력율리우스력을 계절에 맞도록 고친 것이지만, 그 자체에도 다음과 같은 결함이 있다. ① 한 달의 길이가 28일부터 31일까지 불규칙하게 되어 있고, 또 7·8월이 연달아 크며, ② 역일(曆日)과 요일이 매년 달라서 불편하고, ③ 연초(年初)가 천문학적으로 의미가 없으며, ④ 평년이 7년이나 계속되는 수가 있어 1력년(曆年)의 길이가 고르지 않고, ⑤ 윤일(閏日)을 연말에 두지 않고 2월 말에 두었으며, ⑥ 영어권의 9월(September) 이후의 월 이름이 실제와 부합되지 않고, ⑦ 1력년은 365.2425일이지만 1태양년은 365.242196일이므로 그 차인 0.000304일, 즉 26초가 너무 크다는 것 등이다.

그레고리력이 계절에 맞는 역이라고는 하지만, 앞에서 든 바와 같은 결함이 있어 다소나마 이것을 시정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 중에서 실용화되었던 것으로는 프랑스의 공화력(共和曆)이 있다. 공화력은 한 달 30일의 12개월과 연말에 부가되는 5∼6일을 더하여 1력년으로 하고, 10일마다 공휴일을 두자는 것이었으나 프랑스에서조차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13년 만인 1806년에 폐지되었다. 그러나 개력(改曆) 문제는 전세계로 퍼져나가 1901년에는 세계 공통의 새로운 역법을 제정하려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그 결과 출현한 것이, 1903년 독일의 지하르트가 제안하고, 1930년대에 미국의 E.아켈리스가 보급에 전력을 기울인 세계력이다.

세계력은 1년을 3개월씩 4계(四季)로 묶어 총 12개월로 되어 있는데, 각 계는 13주(91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계의 첫 달은 31일로, 나머지 달은 모두 30일로 하고, 각 계의 첫날은 언제나 일요일로 시작하게 하였다. 나머지 1일은 12월 30일 다음날에 연말세계휴일(年末世界休日)로 하여 12월에 속하게 하고, 윤년에는 6월 30일 다음에 하루를 더 두어 6월에 속하는 부토요일(副土曜日)로서 국제휴일로 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세계력은 월의 대소를 조정하였고, 역일과 요일을 결합시켰으며, 매월의 근로일수를 균일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연초의 문제는 너무나 큰 문제이므로 고려의 대상조차 되지 못했고, 요일의 변경은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다. 세계력은 1954년 7월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의 결의로 60개 회원국에 대해 찬반 여부가 문의되었는데 반대국이 상당히 많았으므로, 1956년 4월 이사회에서 더 이상 거론하지 않기로 결정되었다. 반대측의 최대 이유는 주제도(週制度) 파괴에 대한 불만이었으며, 그 밖에 세계적인 개력(改曆) 운동에 대한 각국의 의욕부진도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20세기 초부터 약 50년간 꾸준히 시도되던 세계력은 이제 흘러간 과학사(科學史)의 한 부분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한국에서는 1945년 이래 수년 동안 당시 중앙관상대의 역서에서 세계력을 계몽·선전한 바 있다.

참조항목

역법

역참조항목

공화력, 그레고리력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