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 Gilt-bronze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of Seonunsa Temple, Gochang , 高敞 禪雲寺 金銅地藏菩薩坐像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선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조도금(銅造鍍金) 보살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크기 높이 1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1m이며, 청동 표면에 도금하였다.

선운사 도솔암에 있는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과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머리에 두건 비슷한 (冠)을 쓰고 있는 것을 비롯하여 4각형의 비만한 얼굴, 짧은 목, 형식적이고 수평적인 옷무늬 처리 등은 이 보살상의 시대적인 양식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양식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얼마 동안 유행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고창 선운사 금동지장보살좌상 고창 선운사 지장전에 봉안된 조선시대 보살상 보물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의 선운사 지장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보살상으로 고려말에서 조선초까지의 일정 기간동안 유행하던 양식이다. 불상의 높이는 1m 정도이며 청동 표면에 도금을 한 동조도금 형태이다.  선운사 도솔암의 금동지장보살좌상과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머리에는 두건과 비슷한 관을 쓰고 있고 사각형의 통통한 얼굴과 짧은 목, 형식적인 옷무늬로 표현된 조선초기 양식의 불상이다.  넓적하고 살찐 얼굴에는 눈, 코, 입이 작게 묘사되었고 굵게 주름진 삼도(三道)가 있는 목은 짧아서 움츠러 든 모습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밀반출 되었다가 2년 후인 1938년 선운사에 되돌아왔다고 전해진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