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산읍

선산읍

[ Seonsan-eup , 善山邑 ]

요약 경상북도 구미시 중앙부에 있는 읍.
선산읍

선산읍

위치 경상북도 구미시 중앙부
면적(㎢) 67.01
행정구분 27행정리(18법정리)
행정관청 소재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선산중앙로 71-1(완전리 68-1)
인구(명) 15,362(2012년)

북서쪽은 옥성면(玉城面), 남쪽은 고아읍(高牙邑), 동쪽은 낙동강을 건너 도개면(桃開面)·해평면(海平面)과 접한다. 구미시 통합 전의 선산군청 소재지로서 신라시대는 일선주(一善州), 고려시대에는 선주부(善州部), 조선시대에는 일선현·선산군 등으로 지명 변경을 거듭하다가 선산면으로 확정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읍으로 승격하였다.

동쪽의 낙동강과 서쪽의 감천(甘川)이 합류하는 하류지역에 넓은 분지형의 하안평야(河岸平野)가 이루어지고 형제봉(兄弟峰) 외에 구릉성 산지가 곳곳에 이루어져 있다. 주요농산물은 쌀·보리 외에 수박·고등채소 등의 원예 농업, 사과 등 과수재배가 성하다. 그 밖에 감자의 집단재배와 양송이 재배가 농가소득을 높여주고 있다. 특히 선산평야(중들)는 쌀의 주산지로 유명하다.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영향으로 몇 개의 하청공장이 들어서 있으며, 현대적 시설을 갖춘 도정공장도 있다. 교통은 구미시내와 인접하고 있어 편리한 편이며, 지역간 교통도 원활하다.

문화재로는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竹杖洞五層石塔:국보 130), 선산 독동(禿洞)의 반송(盤松:천연기념물 357), 선산객사(경북유형문화재 221), 단계하위지선생유허비(丹溪河緯地先生遺墟碑:경북유형문화재 236), 금오서원(金烏書院:경북기념물 60), 선산향교(경북문화재자료 123), 하위지 비각(河緯地碑閣), 김선궁유허비(金宣弓遺墟碑), 비봉산성지(飛鳳山城址), 원리 삼층석탑, 동부리 비군(東部里碑群), 하위지묘, 제성단(祭星壇), 교리(校里) 삼층석탑, 원리 고분군, 강첨 충효각(姜籤忠孝閣), 독동리(禿同里) 고분군, 미봉사지(彌鳳寺址), 생곡리(生谷里) 고분군, 송당정사(松堂精舍)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