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in Jukjang-ri, Gumi , 龜尾 竹杖里 五層石塔 ]

요약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죽장사지(竹杖寺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5층 석탑. 1968년 12월 19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구미죽장리오층석탑

구미죽장리오층석탑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8년 12월 19일
소재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2길 90 (죽장리)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0m

1968년 12월 19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가 10m로 전탑형의 5층탑이다. 선산읍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죽장사터에 있는 석탑이다.

18매의 장대석(長臺石)으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상하의 이중기단에 5층 탑신을 세웠으며, 하층 갑석(甲石)은 높은 괴임 2단 위에 상층기단 면석(面石)을 올렸는데 현재는 파손되어 있다. 초층의 탑신은 남면에 불상을 봉안한 것으로 보이는 텅 빈 감실(龕室)이 있고, 여기에 문비(門扉)가 있던 흔적도 남아 있다. 옥개석(屋蓋石) 받침은 6단이고, 7단의 층계식 낙수면으로 구성되었으며 낙수홈은 음각되었다. 2층의 옥개석 받침은 5단, 3층은 4단, 4층은 3단, 5층은 3단으로 구성되었고, 낙수면은 2층에서 5층까지는 6단으로 만들어졌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 있다.

지대석(地臺石)에서 노반까지 많은 부재, 즉 수백 매석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이 석탑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이중기단을 형성하고 있으나, 우주(隅柱)와 탱주(撑柱)를 표현하지 않았다. 낙수면의 층단은 전탑(塼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수법이다.

참조항목

석탑, 선산읍, 전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