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농축

생물농축

[ biological concentration , 生物濃縮 ]

요약 유기오염물을 비롯한 중금속 등이 물이나 먹이를 통하여 생물체내로 유입된 후 분해되지 않고 잔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유해물질들이 먹이사슬을 통해 전달되면서 농도가 점점 높아진다.

예를 들어 정어리가 플랑크톤을 먹는다고 할 때, 한 마리의 정어리는 대단히 많은 수의 플랑크톤을 먹는다. 또한 오징어는 많은 수의 정어리를 먹고, 바다사자는 많은 수의 오징어를 먹는다. 이럴 경우 최초의 플랑크톤이 유해물질에 오염되어 있었다면 바다사자에게 모이는 유해물질의 양은 굉장히 많아져서 결국 바다사자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유해물질이 곧바로 분해되는 것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기름에 잘 녹는 물질로서 분해되기 어렵다면 먹이사슬 위로 올라갈수록 큰 영향을 준다. 

중금속과 방향족 화학물질
이와 같은 생물농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물질이 중금속과 방향족 화학물질이다. 이 두 가지 물질은 자연 상태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몸에 한 번 들어오면 바깥으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 대표적인 중금속으로는 수은과 카드뮴이 있으며 수은의 생물농축으로 일어난 미나마타병, 카드뮴의 생물농축으로 일어난 이타이이타이병 같은 사건이 유명하다.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화학물질은 몸 속의 지방에 녹아서 축적되기 때문에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는다. DDT, 다이옥신 등이 대표적인 방향족 유해물질이다.

환경오염과 생물농축
생물농축으로 문제가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환경오염에 있다. 특히 20세기 이후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바다에 버려진 공장 폐수에 들어있던 여러 가지 성분이 이러한 문제를 가속화시켰다. 환경오염을 통한 공해 물질은 숨을 통해 들이마시는 것으로는 크게 농축되지 않지만 음식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육지 근처의 바다에 사는 연근해 어패류에서 이러한 생물농축 현상이 가장 잘 관찰되므로 이들을 먹을 때는 충분히 주의해야 한다.

생물농축 본문 이미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