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집단

사회집단

[ social group , 社會集團 ]

요약 행위자간에 존재하는 사회관계의 집합.

넓은 의미로 인간의 집합체는 모두 사회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좁은 의미로는 구성원 사이에 분명한 기능적 상호 의존관계가 인정되는 이른바 조직적 집단에 한정된다. 즉 인간의 단순한 물리적 집합, 성(性)·연령 등의 속성(屬性)으로 인구를 분류한 통계학적 집단, 군중이나 대중과 같은 조직성이 불분명한 집단은 제외된다. 이를테면, 혈연·지연적 집단들, 클럽이나 서클, 기업체·정당·종교단체 등 사회의 여러 단체가 그것이다.

즉 사회집단이란 구성원 사이에 ① 공통적인 관심의 대상(목표)이 있고, ② 어느 정도 안정된 지속적 상호작용이 있으며, ③ 그 결과로 일정한 역할 분화에 의한 조직성이 있고, ④ 구성원이 공통적인 집단활동에 여러 형태로 참가하며, ⑤ 표준화된 행동양식으로서의 규범이 형성되어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고, ⑥ 일정한 공동소속 감정이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사회집단은 구성원의 상호작용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지만, 완전히 폐쇄적인 체계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현실적으로 많은 집단에 소속하고, 또 어떤 집단은 이를 포함한 상위집단의 하위체계며, 그 내부에 다시 몇 개의 하위체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사회집단은, 사람들의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체계의 상대적 단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회집단의 구조
사회집단 내에서의 구성원의 행동은 동일하지 않으며, 저마다 다른 행동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가족집단·직장집단·학급집단 등에 있어서 각 구성원은 남편=아내, 과장=과원, 교사=학생과 같이 저마다 다른 지위관계에서 상대방에게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구성원 사이에서는, 한쪽의 역할수행(role performance)과 또 한쪽의 역할기대(role expectation)가 일치할수록 상호작용체계는 안정된다.

이때 인간관계를 규제하는 규범이 성립된다. 이 같은 구성원 사이의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위·역할 관계의 조직을 집단의 구조라고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집단의 구조는 복잡하다. 예를 들면, 가족집단만 하여도 남편=아내, 아버지=자식, 어머니=자식, 형제관계라는 4가지의 서로 다른 성질의 상호작용체계(지위·역할체계)가 포함된다.

따라서 집단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다차원적(多次元的)이다. 또 지위·역할의 구성원간의 분화는, 어떤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있어서 구성원 사이의 힘이나 영향력의 불균형 관계를 성립시킨다. 이와 같은 지위·역할 관계는, 그 성질의 차이에 따라서 권력구조·권위구조·리더십의 구조 등으로 불린다. 지위·역할 관계를 규제하는 전통적인 관계규범이 새 규범과 대립하여 갈등이 생기거나 변화되면, 집단의 구조 자체에도 해체(解體)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사회집단의 기능

사회집단의 기능은 ① 정서적인 안정을 사람들에게 가져다 주는 기능과, ② 집단목표의 달성을 효율화(效率化)하는 기능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R.F.베일스에 의하면, ①의 기능은 사람들을 결합시키고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행하게 하는 결합적=표현적(integrative-expressive) 기능이며, ②의 기능은 구성원이 분업에 의하여 집단생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로 협력하여 일하는 적응적=도구적(adaptive-instrumental) 기능이라고 한다. ①을 집단의 유지기능, ②를 집단의 활동기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집단의 유지기능은 특히 인포멀 그룹(informal group)의 주요기능이다. 이는 정서적·심리적 대립이나 긴장을 줄이고, 우호·신뢰·애정을 더하게 함으로써 커진다. 집단의 활동기능은 또한 포멀 그룹의 주요기능이다. 이는 집단목표가 상이한 사회집단, 예컨대 정당·기업체·학교·종교단체 등에 따라 활동내용이 달라진다. 그러나 정치적·생산적·교육적·종교적 목표달성을 위한 분업의 전문화가 더해지고, 정보교환이나 의사소통이 촉진됨에 따라 효율이 커진다. 양자는 물론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있으며, 구조적 조건과도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