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계

사상계

[ 思想界 ]

요약 1953년 4월 장준하 주재로 창간된 월간 종합교양지.
국적 한국
분야 종합교양지
발행년도 1953년
발행사 사상계
발행주기 월간

1952년 문교부 산하 국민사상연구원 기관지인 《사상》에서 비롯된 월간지이다. 《사상》의 편집인으로 참여하고 있던 장준하가 1953년 4월에 인수하여 제호를 《사상계》로 바꾸면서 본격적인 월간종합교양지로 다시 출발하였다. 《사상》이 정부기관지인데 반해 《사상계》는 재야에 있던 백낙준과 장준하가 사재를 털어 만든 독립적 잡지였고, 이후 이승만·박정희 독재정권에 맞서 싸우는 양심세력를 대변하는 잡지가 되었다.

창간취지는 6·25전쟁이 끝날 무렵 정신적·물질적으로 고통받는 국민을 위해 민족의 앞길을 예비한다는 것이었다. 창간호 3,000부가 발간과 동시에 매진되는 등 지식인층과 학생층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모았다. 초기에 국판 100면 내외로 발행되기 시작하여 이후 400면 내외로 증면되었다.

민족통일문제, 민주사상의 함양, 경제발전, 새로운 문화창조, 민족적 자존심의 양성을 편집의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정치·경제·문화·사회·철학·교양·문학·예술 등 다방면에 걸쳐 권위있는 글을 실었다. 특히 문예면에 큰 비중을 두어 당시 문예지가 적었던 상황에서 문인들의 활동무대를 크게 넓혀 주었고, 신인문학상과 동인문학상 등을 제정하여 역량있는 신인들을 발굴하는 한편, 작가들의 창작의욕을 고취시켰다.

제3공화국 때 자유언론 투쟁에 앞장섬으로써 정치 탄압의 수난을 당하였으며, 발행인 장준하가 국회의원이 되면서 발행인이 부완혁으로 바뀌었다. 1961년 통권 100호 기념호를 펴낸 외에도 여러 차례 특집호를 펴냈으나, 재정난이 계속되는 와중에 1970년 5월호에 김지하의 시 《오적(五賊)》을 실었다는 이유로 그 해 9월 29일 당국으로부터 폐간 처분을 받았다.

당시 발행인이던 부완혁은 법정투쟁을 통해 1972년 4월 대법원에서 ‘사상계 등록취소처분을 취소하라’는 판결을 받아냈다. 그러나 잡지사를 유지할 자금이 부족했음은 물론이고, 돈이 있어도 글을 써줄 필자를 구하기 힘들었던데다,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이를 찍어줄 인쇄소를 찾는다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부득이 ‘폐간’ 아닌 ‘사실상 휴간’ 상태로 있었다.

1984년 부완혁이 죽자 그의 장녀 부정애가 판권을 상속, 몇 차례 복간을 시도하다가 28년만에 1998년 6월호(통권 206호)가 발간되었고, 이후 2000년 6월호(통권 207호)가 발간되었다. 이것은 1996년 7월 발효된 새 정기간행물등록법이 '2년 이상 발행이 중단된 경우 등록이 취소된다'고 규정하여 이를 회피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한정본만 발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