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도

바비도

요약 정의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인간의 고귀함을 그린 김성한의 단편소설.
저자 김성한
장르 소설
발표년도 《사상계》(1956, 5)
수상 제1회 동인문학상(1956)

제1회 동인문학상 수상 작품으로 《사상계》 1956년 5월호에 발표되었다. 이 소설은 타락한 교회의 횡포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어제의 신념을 오늘에 저버리는 인간들에 대항하여 한 가난한 봉제직공 바비도가 끝까지 정의와 양심을 지켜 죽음을 선택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정의, 그리고 진정한 신앙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작품이다.

소설의 배경이 된 1400년대 영국 사회는 교회의 권위와 신성함이 사라지고 교회와 국가의 권력이 지나치게 비대해지고 세속화해 와 들의 부정이 만연하였다. 바비도는 불의와 비겁이 판치는 이러한 현실에 분개하지만, 정의와 권리란 힘있는 자들의 특권임을 깨닫고 삶에 환멸을 느낀다. 교회가 금지한 영어 성서 읽기 모임에 참석한 죄로 이단으로 지목되어 정에 출두한 바비도는 사제의 비리와 교리의 허구성을 공격한다. 바비도는 처형 장면을 구경하려고 많은 군중이 몰려온 가운데 화형식이 거행될 즈음에 그의 용기와 지조를 가상히 여겨 목숨을 살려줄테니 자신의 신념을 버리라는 태자(훗날 헨리 5세)의 간곡한 회유를 거절하고 당당히 죽음을 택한다.

이 소설은 종교라는 권위 의식과 개인의 윤리 의식 사이에서 충돌과 폭력과 편견에 맞선 정의와 양심의 승리를 그리고 있다. 1400년대 영국 사회의 모습을 빌려 6·25전쟁 직후 폐허 가운데서 부패가 만연한 한국 사회를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의 성격을 지닌다. 1950년대 한국 전후작가들의 문제작들이 주로 어둡고 무기력하며 허무적인 분위기를 띠는 가운데서도 인간에 대한 신뢰와 희망을 잃지 않는 작가 김성한의 작품은 색다른 빛을 발한다.

이 소설은 에서 인간이 존엄성과 정의를 지키고자 하는 주체적 의지와 생존의지가 대립할 때 인간 실존의 행동방식에 대한 소설적 접근을 분명하고 명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처럼 김성한은 개인의 자유와 진리에 대한 신뢰와 믿음을 전제로 적극적으로 반항하는 인간을 자주 그리고 있다. 그의 다른 대표작 《오분간》 《귀환》 등에서도 소극적이고 순응적인 인간상이 아니라 적극적인 인물을 창조함으로써 6·25전쟁의 비극적 체험이 가져다준 인간성 상실의 위기에서 하나의 건강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김성한은 1919년 함경남도 풍산에서 태어나 일본 교[京都大學校]를 중퇴하였으며, 1950년 《무명로(無明路)》가 서울신문 에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주요작품에 단편소설 《암야행》 《오분간》 《귀환》 《방황》 등과 역사소설 《이성계》 《임진왜란》 《요하(遼河)》 등이 있다. 《사상계》 주간,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지낸 그는 전후작가 가운데서는 보기 드물게 전후의 사회 의식을 간명하고 명쾌한 문장으로 박력있게 다룬 점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