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이만형컴퓨터

비노이만형컴퓨터

[ non-von Neumann type computer ]

요약 폰노이만이 메모리를 두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한 것과 반대의 개념이다. 즉 제어가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따라가는 폰노이만형컴퓨터와는 다르게, 데이터가 준비된 연산에 따라 움직이는 연산구조를 갖는 컴퓨터를 말한다.

폰노이만컴퓨터와 비노이만형컴퓨터의 차이점

폰노이만 모델은 기억장치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넣고 차례로 불러내 처리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 경우 어떤 프로그램을 기억장치에 집어넣는가에 따라서 수행하는 일도 달라진다. 폰노이만의 컴퓨터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무한히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크고 작은 컴퓨터는 모두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프로그램 중심의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컴퓨터를 우리는 노이만형 컴퓨터라고 말한다. 반대로 비노이만형 컴퓨터는 노이만형이 아닌 컴퓨터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데이터 처리의 고속화, 고도화를 위하여 프로그램 일부를 하드웨어화 하거나, 병렬 처리 기능, 추론 기구를 채택한 컴퓨터를 가리킨다. 컴퓨터의 병렬 처리 기능이란 서로 관계없는 프로세스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말하는데,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기능을 동시에 해서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비노이만형 컴퓨터의 장점과 단점

비노이만형컴퓨터의 장점은 프로그램에 최적화 설계가 가능하여 고속화가 쉽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점은 프로그램이 하드웨어로 되어 있어 프로그램(동작 및 기능)을 바꾸거나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