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폰 노이만

존 폰 노이만

[ Johann Ludwig von Neumann ]

요약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의 내장형 프로그램을 처음 고안한 미국의 수학자, 물리학자. 1949년 에드삭(EDSAC)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를 만들었으며 이때 고안한 방식은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컴퓨터 설계의 기본이 되고 있다.
노이만

노이만

출생-사망 1903.12.28 ~ 1957.2.8
본명 요한 폰 노이만
국적 미국
활동분야 수학, 컴퓨터, 물리학
출생지 헝가리
주요수상 페르미상
주요저서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1927)와 《힐베르트 공간론》(1927), 《집합론의 공리화(公理化)》(1928)

1903년 12월 28일 의 에서 태어났다. 유대인으로 그의 성 앞에 붙는 폰(von)은 이었음을 나타낸다. 부유한 은행가의 삼 형제 중 장남이었다. 어릴 때부터 에 재능이 뛰어나 12세에 의 수학자 보렐의 을 이해하였으며, 18세에 페케테와 공동으로 에 관한 논문을 의 수학잡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1921년 부다페스트대학교 수학과에 입학했을 때에는 이미 일류 수학자로서 인정받았다. 1927년 베를린대학교 강사, 1929년 하이델베르크대학교 강사를 거쳐 1930년 미국 객원교수가 되었다. 1932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가 세워지자 1957년 사망할 때까지 연구소에서 일했다.

그의 연구는 수학기초론에서 시작하여 의 수학적 기초설정 등 수리물리학적 과제를 대상으로 하고, 또한 이나 게임이론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였다.

현대적 수학기초론의 출발점이 된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1927)와 《힐베르트 공간론》(1927), 《집합론의 공리화(公理化)》(1928) 등은 모두가 20대에 이룬 업적이다. 《게임의 이론》(1928)과 《에르고드이론의 연구》(1932)를 집필하였으며, 《위상군론(位相群論)》(1933)과 《군(群) 위의 개주기(槪週期) 함수론》(1934)으로 '군 위의 조화해석(調和解析)의 연구'를 발전시켰다.

1944년에는 모르겐슈테른과 《게임이론과 경제행동》을 저술하였으며, 기상연구용 컴퓨터 고속도 전자계산기(MANIAC)의 연구·제작과 수치해석에 기여한 공로로 페르미(Fermi)상을 수상하였다. 그 외에 머리(Murray)와 함께 작용소환론(作用素環論)과 연속기하(連續幾何)를 창시하였다.

1942년 8월에 ''에 참여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전자계산기의 이론 설계 서론〉에 발표한 후, 1949년 마침내 에드삭(EDSAC; Electronic Delay Storage Automatic Computer)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를 만들었다. 이때 고안한 방식은 오늘날에도 거의 모든 컴퓨터 설계의 기본이 되고 있다. 이외에도 순서도와 , 을 처음으로 사용했다. 그는 어학에도 뛰어나 는 물론 와 ··를 사용하였다. 1957년 2월 8일 암으로 사망하였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