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격진천뢰

비격진천뢰

[ Bomb Shell , 飛擊震天雷 ]

요약 조선 중기에 사용되었던 화기(火器). 1986년 3월 14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격진천뢰

비격진천뢰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6년 3월 14일
소장 국립고궁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물 / 과학기술 / 무기병기류 / 병장기류
크기 지름 21cm 둘레 68cm, 죽통(竹筒) 구경 5.2cm, 개철(蓋鐵) 구경 7.6×8.4cm, 화약혈(火藥穴) 구경 6.2cm

1986년 3월 14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진천뢰라고도 한다. 지름 21cm, 둘레 68cm, 죽통(竹筒) 구경 5.2cm, 개철(蓋鐵) 구경 7.6×8.4cm, 화약혈(火藥穴) 구경 6.2cm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군기시(軍器寺)의 화포장(火砲匠) 이장손(李長孫)이 발명하여 대완구(大碗口)라는 중화기로 쏜 포탄으로, 임진왜란 때 공성화기(攻城火器)로서 위력을 발휘했다. 위 아래는 둥글고, 허리는 퍼진 모양이며, 위 한가운데는 뚜껑인 개철을 덮을 수 있도록 방형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신관(信管)과 같은 발화장치인 죽통을 넣을 수 있도록 구경 5.5cm 정도의 구멍이 있다. 허리에는 화약을 넣고 격목(檄木:뇌관)을 박는 화약혈이 있다. 발화장치인 죽통 속에는 도화선인 약선(藥線)을 감는 나선형의 목곡(木谷)이 들어가는데, 빨리 폭발시키려면(근거리 발사) 10곡(曲), 늦게 폭발시키려면(원거리 발사) 15곡으로 약선을 감아서 죽통에 넣는다. 이와 같이 해서 만들어진 죽통을 빙철(憑鐵)과 함께 진천뢰 속에 넣고, 죽통의 도화선 끝을 개철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빼내어 발사할 때 불을 당기도록 되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선조 25) 왜병에게 쫓겨 경상북도 안강(安康)으로 진을 옮긴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박진(朴晋)이 경주싸움 때 경주 판관(判官) 박의장(朴毅長)을 선봉으로 하여 비격진천뢰를 써서 많은 성과를 올렸으며, 해군의 함포(艦砲)에도 이를 이용하여 많은 적의 함선을 부수었다.

이 화기는 현존하는 같은 종류의 유물 중, 공정과정이 가장 우수하고 보존상태가 좋아 국방과학기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참조항목

대완구, 이장손

역참조항목

박의장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