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in ]

요약 대기 중의 수증기의 지름 0.2mm 이상의 물방울이 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약 10만 개의 구름방울이 뭉쳐야 1개의 빗방울이 되는데 이렇게 많은 양의 구름방울이 모이는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 빙정설과 병합설로 설명한다. 이 경우는 강우의 물리적인 설명이지만 기상학적인 조건에 의한 강우도 있다.
비가 되는 과정

비가 되는 과정

크기가 0.2mm라는 것은 이슬비(drizzle)의 가장 작은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 이보다 더 작은 구름방울인 경우 150m 정도만 낙하해도 증발되어 사라져버리므로 빗방울이 될 수 없다. 일기도상에 비를 표시할 때는 운량(雲量)을 표시하는 지점 옆 국제식 기호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빗방울의 지름은 구름방울의 100배 이상, 1개의 빗방울은 10만 개의 구름방울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많은 양의 구름방울이 수분에서 수십분 이내에 어떻게 병합(倂合)되어 큰 빗방울이 되는가에 대해서는 현재 빙정설(氷晶說)과 병합설의 두 가지 과정이 생각된다. 빙정우는 -40℃ 정도까지 냉각된 구름꼭대기 부근에 생긴 빙정이 빙정과 물방울이 공존하고 있는 층을 떨어져 내려오게 되면 포화수증기압의 차이로 물방울은 증발하고 빙정은 승화에 의하여 성장된다. 이 빙정은 떨어지면서 구름방울과 붙어서 눈조각이 되는데, 더 아래층으로 떨어져 내려와서 0℃ 이상의 기층에 들어오면 녹아서 큰 빗방울이 된다.

이 과정을 T.H.P.베르예론이 발표하였기 때문에 빙정설에 의한 비를 베르예론형 비라고도 하며, 지역적으로는 고위도지방, 계절적으로는 겨울비에 이 형이 많다. 병합설은 열대지방처럼 구름꼭대기의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도 구름 속에 보통 구름방울보다 큰 해수로부터의 염분(1∼10μm)을 핵으로 한 물방울이 존재하고 이 물방울이 작은 구름방울을 병합하여 빗방울로 성장되어가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 과정을 연구한 사람은 우드콕과 I.랭뮤어이며, 구름 꼭대기의 온도가 0℃ 이상이어도 비가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따뜻한 비(warm rain)라고도 한다. 영국의 B.J.메이슨이 이 과정을 요약하여 자연 비의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이상은 구름으로부터 비가 내리는 물리적인 설명이지만, 기상학적인 조건에 의한 강우에는 다음의 경우가 있다.

비 본문 이미지 1

⑴ 대류성 비:여름철에 전형적으로 볼 수 있다. 대기는 하층으로부터 가열되거나 상층에 찬 기류가 흘러들어오면 성층(成層)이 불안정해져서 위아래의 대류를 일으키는데, 적운(積雲) 단계에서는 좀처럼 비가 내리지 않으며, 구름꼭대기가 -20 ℃ 정도로 되어 빙정이 생길 수 있게 되면 구름 밑부분으로부터 강한 비가 내린다.

⑵ 지형성 비:습윤한 공기가 산허리를 따라 상승하면 단열팽창에 의하여 냉각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이 구름으로부터 비가 내리게 된다. 이 경우 우량은 산꼭대기 근처보다 중턱 약간 윗부분에 가장 많다.

⑶ 전선성 비:온난전선이나 한랭전선 등의 전선면(前線面)에 따라 기류가 상승할 경우에 내리는 비이다. 온난전선일 때는 강우역이 넓어 거의 300km에 달하고, 한랭전선일 때는 70∼100km로 비교적 좁다.

⑷ 수렴성 비:태풍이나 저기압의 중심으로 주위의 기류가 수렴되어 오면, 중심 부근에서는 강한 상승기류가 생겨서 많은 비가 내린다. 태풍이 한반도 부근을 통과할 때 남한 전체에 내리는 우량은 약 68억 t이다.

카테고리

  • > > >

관련동영상

비와 눈의 생성과정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수많은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름 입자들이 모여 빗방울만큼 커져서 비나 눈이 되어 내리는 과정은 크게 병합설과 빙정설의 두 가지로 설명됩니다. 병합설은 구름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지면서 점점 크고 무거워짐에 따라 빗방울로 만들어진다는 강수 이론입니다. 따뜻한 열대지방이나 여름철 중위도 지방의 경우, 구름 꼭대기라도 온도가 0도 이상이기 때문에, 구름은 액체 상태의 물방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물방울들끼리 서로 부딪히고 병합하여 점점 크고 무거워지면서 빗방울이 되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내리는 비를 ‘따뜻한 비’라고 합니다. 빙정설은 차가운 구름 속에서 비나 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강수 이론입니다. 여름철을 제외한 중위도 지방이나 고위도 지방에 떠있는 0도 이하의 구름 속에는 작은 구름 방울들과 얼음 알갱이가 함께 있습니다. 이때 작은 구름 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어, 얼음 알갱이의 결정이 점점 커지고, 무거워지면, 눈이 되어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떨어지다가 녹으면 비가 되고, 녹지 않으면 그대로 눈으로 내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내리는 비를 ‘찬 비’라고 합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