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

강수

[ precipitation , 降水 ]

요약 비나 눈 등과 같이 대기 중의 물방울이나 빙정 또는 부정형의 얼음 조각 등이 구름으로부터 떨어져 내리는 현상 또는 떨어져 내리는 빗방울이나 얼음 조각, 얼음 알갱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이것들이 지표에 도달되는 경우를 말하며, 비나 안개비 등을 강우라 하고 눈이나 싸락눈 등을 강설이라 한다. 강수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물의 공급원이며, 다른 기후요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인류의 생존에 꼭 필요한 것이다.

강수의 유형
1.대류성 강수: 강한 복사열로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강수 현상(우리 나라의 소나기)
2. 지형성 강수: 습윤한 공기가 산지를 넘으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나타나는 강수 현상
3. 저기압성 강수: 저기압의 중심부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강수 현상(태풍)
4. 전선성 강수: 전선을 따라 저기압이 이동하면서 나타나는 강수 현상(우리 나라의 장마전선)

강수이론
빙정설: 기온이 0℃ 이하인 구름 속에 빙정과 과냉각 물방울이 존재할 때, 구름 속의 수증기압이 빙정에 대해서는 과포화 상태이고 과냉각 물방울에 대해서는 불포화 상태가 된다. 불포화 상태의 과냉각 물방울은 증발하여 작아지고, 과포화 상태의 빙정에 달라붙어 더욱 커져 낙하한다. 낙하할 때, 빙정이 따뜻한 기층을 통과하여 녹으면 비가 내리고 녹지 않으면 눈이 된다. 구름 속의 온도가 0℃ 이하인 온대 지방이나 한대 지방의 찬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다.

병합설: 구름 꼭대기의 온도가 0℃ 이상일 때, 구름 속에 물방울만 있고 빙정은 없다. 큰 물방울과 작은 물방울의 낙하 속도 차이로 인해 물방울이 충돌하여 합쳐지면 크기가 커져서 지상에 내릴 수 있다. 병합설은 열대 지방의 따뜻한 비를 설명할 수 있는 강수 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