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 Printing Woodblocks of Buddhist Scriptures in Buseoksa Temple, Yeongju , 榮州 浮石寺 高麗木板 ]

요약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판각(板刻)한 《대방광불화엄경판(大方廣佛華嚴經板)》. 1982년 5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2년 5월 22일
소재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크기 가로 24.3cm, 세로 45cm

1982년 5월 2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크기는 24.3cm×45cm이다. 3종 634장(진본 239장, 주본 273장, 정원본 122장)으로 된 고려각판은 13∼14세기에 제작되었으며, 한역본(漢譯本)의 《대방광불화엄경》을 새긴 고려시대의 목판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은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으로 《화엄경》이라고도 하는데, 《법화경(法華經)》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크고 방정(方正)하고 넓은 이치를 깨달은 꽃같이 장엄한 경이라는 뜻의 《대방광불화엄경》은 불타(佛陀)의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표명한 경전이다.

부속문화유산은 대방광불화엄경진본(大方廣佛華嚴經晋本), 대방광불화엄경주본(大方廣佛華嚴經周本),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 등이 있다.

대방광불화엄경진본은 불타발타라(佛駄跋陀羅)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대방광불화엄경주본은 중국 당(唐)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은 당나라 반야가 번역한 《화엄경》 정원본 40권을 가리킨다.

이 3본 화엄경 각판은 34자본(字本)으로, 거란본(契丹本) 계통의 판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주조되었으며, 보각판(補刻板)은 진본 권32에 ‘융경이년무진정월일경상도영주지태백산부석사개판(隆慶二年戊辰正月日慶尙道榮州地太伯山浮石寺開板)’의 간기(刊記)로 보아 조선시대인 1568년(선조 1)에 보각(補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조항목

부석면, 부석사

역참조항목

결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