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화장실

[ toilet , 化粧室 ]

요약 대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시설로, BC 2400∼BC 2100년의 고대 바빌로니아의 주거지(住居址)에서 이미 햇볕에 말린 벽돌을 쌓고 역청(瀝靑)으로 마무리한 걸터앉는 방식의 수세식이 발견되었는데, 수세(水勢)에 의하여 오물을 흘리는 방식은 1596년에 영국의 하링튼경(卿)이 발명하였다.
플런저

플런저

화장실은 변소 ·뒷간 ·측간이라고도 한다. 그밖에 예전에는 서각(西閣) ·정방(淨房) ·측실(廁室) ·측청(廁圊) ·혼측(溷廁) ·회치장(灰治粧) ·시뢰(豕牢) 등이 있다.

BC 2400∼BC 2100년의 유적으로 보여지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주거지(住居址)에서 이미 햇볕에 말린 벽돌을 쌓고 역청(瀝靑)으로 마무리한 걸터앉는 방식의 수세식 화장실이 확인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각 도시에서는 실내화장실이 채용되었다고 하며, 크레타섬에서는 크노소스 궁전의 수세식 화장실이 발굴되었다. 그리스에서는 배수시설이 불완전하여 오물을 도로에 버려 뒷골목이 불결하였던 것 같다.

로마 시대에는 상 ·하수도가 발달하여 폼페이나 팀가드의 유적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이 납관[鉛管]에 의한 각호급수(各戶給水)와 사용 후의 물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하였으며, 암거(暗渠)에 의한 하수도를 이용하여 강이나 바다에 방류하는 방식도 도시의 일부에서는 채용되었다.

중세가 되자 로마식 화장실은 없어지고 다시 원시적인 농경생활식 화장실로 되돌아갔고 오물은 정원 구석이나 도로에 버렸다.

중세나 르네상스의 주택은 말할 것도 없고, 호사의 극을 다한 베르사유궁전에서도 화장실 ·세면소 등의 고정시설은 설치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콜레라나 페스트가 거듭 발생하였다. 수세(水勢)에 의하여 오물을 흘리는 방식으로 된 화장실은 겨우 1596년에 영국의 하링튼경(卿)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것은 구조상 냄새가 역류(逆流)하는 등 문제가 있었으며, 1775년에 런던의 시계 장인에 의하여 개량되면서부터는 수세식 화장실이 보급되기에 이르러 템스강(江)이 몹시 오염되었다고 한다.

암거식 하수도가 설치되고 오늘날의 하수처리법이 연구되게 된 것은 그 이후의 일이다. 1840년대 이후가 되자 프랑스나 독일의 큰 저택에서는 수세식 화장실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