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제관전투

벽제관전투

[ 碧蹄館海戰 ]

요약 임진왜란 때 벽제관에서 일어난 명나라와 왜(倭)의 싸움.

평안도 방면으로 진격한 왜군은, 1593년(선조 26) 평양에서 이여송(李如松)이 거느린 명나라 군대에 대패하였다.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등은 황해도로 진격한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의 도움을 받아 서울로 후퇴하였다. 왜군은 고바야가와 타카카게[小早川隆景] 등을 선봉(先鋒)으로 하여, 다시 총력을 기울여 반격을 시도하였다. 명나라 군은 평양 승전의 여세를 몰아 개성까지 진격한 뒤, 1월 25일 서울로 남진하여 왜군의 주력 부대를 격멸할 작전을 세웠다. 이때 왜군은 명나라 군을 맞아 싸울 생각으로 북상 중이었으며, 그 선봉은 여석현(礪石峴)에 진을 쳤다.

명나라의 선봉장 사대수(査大受) 등이 왜군 선봉과 최초로 회전하였는데, 명나라 군이 패하여 벽제역(碧蹄驛)까지 후퇴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이여송은 혜음령(惠陰嶺)을 넘어 벽제관으로 급행, 망객현(望客峴)으로 진격하였으며, 여기서 명·왜 양군 사이에 격전이 벌어졌다. 고바야가와가 거느린 왜군의 대부대는 3대(隊)로 나뉘어 명나라 군을 공격하였으며, 미처 포군(砲軍)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다만 기병(騎兵)만으로 싸우던 명나라 군은 결국 왜군에 포위되어 조총(鳥銃)의 집중 사격을 받아 크게 패하였다. 이때 늦게 도착한 부총병(副摠兵) 양원(楊元)이 거느린 화군(火軍)의 도움으로, 명나라 군은 간신히 왜군의 추격을 막고 일단 파주(坡州)로 후퇴하였다가 개성으로 물러갔다.

명나라는 평양에서의 승전으로 왜군을 얕잡아 보아, 충분한 준비를 갖추지 않고 서둘러 진격하다가, 평양에서의 대패전을 설욕(雪辱)하려는 왜군의 맹공격을 받고 패전한 것이다. 이 싸움에서 명나라 군은 이비어(李備禦)·마천총(馬千摠) 등 많은 전사자를 냈고, 이후 왜군과의 전투에서 적극성을 잃어 왜군의 주력 부대를 섬멸할 기회를 놓쳤다. 이 싸움에 동원된 명나라 군 병력은 4만 3000명, 왜군 병력은 7만 1000명이었다.

참조항목

, 임진왜란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