벵골어

벵골어

[ Bengali language ]

요약 인도아리아제어(諸語) 중 동부(東部)그룹에 속하는 언어.

현재 인도공화국의 벵골주(州)와 방글라데시의 공용어이다.

벵골어의 역사는 초기(950∼1200)·중기(1200∼1800)·현대(1800 이후)의 3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인도아리아어계의 언어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몇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음운(音韻):모음에 장단의 구별이 없다(i e æ a 벵골어 본문 이미지 1 o u 벵골어 본문 이미지 2벵골어 본문 이미지 3u). ② 형태:과거동사의 형태소(形態素)는 -il-이며, 미래는 -ib-이다. ③ 문법:남성형·여성형의 구별이 없고, 또한 단수·복수에 의한 동사 어미의 구별이 없다.

벵골어의 방언은 동서 2대 그룹으로 분류되며, 각 그룹은 다시 5∼6의 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있어서 벵골어에 의한 가장 오래된 문헌은 10세기 후반의 《차르자기타》라는 운문이며, 중기의 작품도 운문 형식에 의한 종교적 설화가 대부분이다.

현대의 벵골 작가로는 소설가 본킴 찬드로 차타르지, 사라트 찬드로 차타르지, 시인 마이켈 모즈스단 다트 외에 아시아인으로는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이며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타고르가 있다.

벵골문자는 나가리문자의 변종이고, 구어체의 표준어는 캘커타방언이며, 문어체는 어휘나 문법에 있어서 구어체와 큰 차이가 있다.

역참조항목

벵골인, 콜카타, 인도의 언어, 방글라데시의 주민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