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방송

베이징방송

[ 北京放送(북경방송) ]

요약 중국의 대외 방송.
구분 방송기관
설립일 1941년 12월 03일
설립목적 중국에 대한 이해와 친선 증진, 중국의 역사와 현황 및 중국 정부의 대내외 정책 소개
주요활동/업무 38개 외국어와 중국어 표준말, 4개 중국 방언 방송, 2개 채널에서 8개 외국어로 FM 방송
소재지 중국 베이징

중국의 유일한 국가 대외방송으로, 정식 명칭은 CRI(China Radio International:중국국제방송)이다. 중국에 대한 이해와 친선을 증진하고 중국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중국 정부의 대내외 정책을 세계 각국에 소개하기 위해 1941년 12월 3일에 설립하였다. 중국 정부가 관리·운영하고 있는 국무원 라디오·텔레비전부(部)에 속하며, 정치·경제·사회·문화·예술 등에 대한 논평·해설을 통해 중국 정부 및 공산당을 선전하는 보도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1950년 4월 주로 단파를 통해 7개 국어로 방송을 시작한 이후 1960~1970년대의 20개 국어에서 1990년대 초의 40여 개 국어로 증가하였다. 2000년 이후 38개 외국어와 중국표준어, 4개 중국 방언으로 방송하고 있으며, 중국 내에서 2개 채널을 통해 영어·프랑스어·일본어·독일어·에스파냐어·한국어·러시아어·아랍어 등의 외국어로 FM 외국어 방송도 실시하고 있다. 1일 연방송시간은 약 200시간이며 1998년 4월 모든 언어의 디지털 방송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은 중국 본토는 물론 유럽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일부 나라에서도 중계 송출되고 있다. 모두 10개 방향으로 방송되며, 한국 쪽으로는 중파를 이용하고 있다.

프로그램 성격은 보도 위주의 종합방송이며, 언어 방송마다 상대적인 독립성을 갖고 있고, 중대 사건과 체육행사 등은 현지 실황방송을 하거나 특별 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송하고 있다. 인터넷상으로 영어·프랑스어·독일어·에스파냐어·한국어·일본어·포르투갈어·중국표준어·광둥어[廣東語] 등이 서비스되고 있다. 현재 중국 33개 도시와 세계 29개 주요 지역에 특파원을 두고 세계 각국의 방송 기구와 프로그램 교환, 인원 교류 등의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중국어 신문 《세계신식보(世界信息報)》, 영문신문 《신사보(信使報)》를 발행하며 CRITV, 중국국제방송출판사, 중국국제방송음반출판사, CRI국제문화교류센터 등의 기구를 두고 있다. 소재지는 베이징[北京]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