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 Rock-carved Seated Buddha of Beopjusa Temple, Boeun , 報恩 法住寺 磨崖如來倚坐像 ]

요약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 경내의 타래암(墮來岩)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사내리)
시대 고려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크기 전체 높이 5m, 연화대좌석 높이 2.84m, 평면연화석 폭 2.27m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크기는 전체 높이 5m, 연화대좌석 높이 2.84m, 평면연화석 폭 2.27m이다.

불상의 머리는 마애불에서는 보기 드문 나발(螺髮)이며, 육계(肉髻)는 작으나 한가운데에 장엄구(壯嚴具)가 있다.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납의(衲衣)는 발까지 늘어졌고, 가슴에 흐르는 옷주름은 매우 유려하다. 불상은 커다란 연봉(蓮峯) 위에 걸터앉아 있으며, 두 발은 각각 연판(蓮瓣) 위에 올려 놓았다. 불상의 오른쪽 암면에는 음각(陰刻)으로 짐을 실은 을 끄는 사람, 말 앞에 꿇어앉은 소 등을 묘사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 고려시대에 제작된 법주사 마애불상 보물 제216호 높이 6m의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조각된 마애불좌상으로 우리나라 마애불의 대표적인 불상으로 평가된다.  의자에 앉은 모습의 미륵불은 법주사가 미륵신앙의 중심도량임을 보여준다. 불상의 머리는 소라모양의 나발이 촘촘하고, 눈은 가늘게 뜨고 잘 표현된 입술과 코는 온화한 표정을 만들어주고 있다.  목에 있는 3줄의 주름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된 마애불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깨에 비해 허리는 지나치게 잘록하다. 불상의 오른쪽에 짐 실은 말을 끄는 사람과 말 앞에 꿇어 앉은 소를 새겨 놓았는데 이것은 의신조사가 불경을 실어 오는 모습과 소가 불법을 구하는 법주사 창건 전설을 표현한 것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