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방향

[ 方響 ]

요약 국악기 중 금부(金部)에 속하는 타악기.
방향

방향

철향(鐵響)이라고도 하며, 16개의 철편(鐵片)을 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8개씩 매어 놓고 망치 모의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낸다. 중국 양(梁)나라 때에 만들어졌다고 하며, 당 ·송 ·원에서는 주로 연악에 쓰였고, 명 ·청시대에는 아악에 쓰였다 하나 지금은 없어졌다. 한국에서는 고려 문종 때(11세기) 이 악기로 당악을 연주한 이래 줄곧 당악과 고취(鼓吹)에 편성되어 쓰였다.

철편은 강한 쇠붙이로 만들며 크기는 16개 모두가 같은데, 두텁고 얇음에 따라 음정이 다르다. 철편의 위쪽에 구멍을 뚫어 삼갑진사(三甲眞絲)로 꿰어 고정시켰으며, 가자(架子)를 나무로 조각한 새끼호랑이[雛虎] 2마리에 올려놓고 있다. 철편의 모양이 임진왜란 전에는 위쪽이 둥근 직사각형이었으나 임진왜란 후 각이 진 직사각형으로 변하였다. 현재 음역이 너무 높고, 음색이 고르지 못하며, 탁하여 거의 쓰이지 않고 있으나, 종묘제례(宗廟祭禮) 때 편성된다.

참조항목

고취, 당악, 타악기

역참조항목

국악기, , 음정, 해령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