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ast , ]

요약 네 가지 방위 중에서 동쪽 방향을 가리키는 말.

동서남북 네 방위 중 하나로, 해가 뜨는 방향에 해당된다. 서(西)의 반대 방향이며, 북쪽을 보고 섰을 때 오른쪽이 된다.

동서양 모두에서 동쪽은 '태양이 뜨는 곳'과 연관하여 주로 언급된다. 이로 인해 동쪽은 '아침' 또는 '시작'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양' 또는 '동쪽지방'을 가리키는 '오리엔트(Orient)'는 라틴어의 오리엔스(Oriens)에 기원하였는데, 이 또한 해가 뜨는 곳을 의미한다. 아시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는 일본의 경우도 그 명칭이 '해가 뜨는 곳'이라는 의미로 동쪽과 관련되며, 과거 우리나라 조선 왕조의 단어적 의미 또한 '아침' 혹은 '해가 뜨는 곳'으로 동쪽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쪽이 시작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면, 동양 전통사상 중 하나인 오행설(五行說)에서 봄이 동쪽 방위를 의미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가 된다. 농사에 있어 씨를 뿌리는 봄을 절기의 시작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때 가을은 반대로 서쪽의 방위에 해당되며, 추수때를 의미한다. 동작서성(東作西成)이란 말은 여기서 나온 것으로 봄에 씨 뿌리고, 가을에 수확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또 다른 동양사상 중 하나인 십이지(十二支)에서는 묘(卯) 방향에 해당하며, 동(東)에서 천정을 지나 서(西)로 이어지는 선을 묘유선(卯酉線)이라 하기도 한다.

지구에서 남북방향은 적도를 기준으로 끝이 있지만, 동서방향은 기준이나 끝이 없다. 동서방향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경도의 기준을 인위적으로 정해야만 했는데,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가 그 기준이 되었다. 이곳을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은 동경(E), 서쪽은 서경(W)이라 부른다. 동경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나라들은 영국보다 동쪽에 위치하여, 해가 먼저 뜨기 때문에 시간이 더 빠르게 된다.

한편, 동쪽에 대한 순우리말은 '새'로, 샛별, 샛바람, 높새바람 등에서 '새'가 동쪽을 가리킨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묘유선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