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바드기타

바가바드기타

[ Bhagavad Gītā ]

요약 힌두교의 중요한 성전(聖典) 중 하나. 
원어명 भगवद् गीता
구분 경전
저자 브야사(Vyasa)
시대 BC 2세기설(說), 3세기설, 5세기설 등

'스리마드 바가바드기타(Śrīmad bhagavad gītā)', 또는 약칭하여 '기타'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어로 지고자(至高者), 또는 신의 노래라는 뜻이며,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5세기 사이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일부분으로서, 제6권인 《비스마파르바(Bhishma Parva)》 25장부터 42장까지 18장과 700편의 시로 이루어져 있다. 인격신 크리슈나를 향한 강렬한 사랑과 헌신을 바탕으로 한 박티 요가를 강조한다.

마부이자 스승인 크리슈나와 판다바족의 왕자 아르주나 사이의 대화를 담고 있다. 쿠르크셰트라 전쟁터에서 형제·친척들과 싸워야하는 도덕적 딜레마에 빠진 아르주나에게 크리슈나는 스승으로서 다르마(의무)의 개념을 설명해준다. 그와 더불어 카르마(행동) 요가, 즈나나(지식) 요가, 박티(신애, 信愛) 요가 등 신에게 이르는 여러 길을 제시한다. 또한 11장에서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절대신이자 최고신으로서의 자신의 우주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바가바드기타》는 인도인의 정신적 지침서일 뿐만 아니라 전 인류의 중요한 종교적 고전 중 하나로 간주된다. 8세기 베단타 학자 샹카라 이후 라마누자, 마드바, 발라바 등 여러 비슈누파 철학자·사상가들이 《바가바드기타》에 대한 논평을 남겼고, 현대에 와서는 마하트마 간디, 오로빈도 고시,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부파다 등 여러 사상가들이 권위 있는 주석서를 집필했다.

참조항목

힌두교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