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리

미투리

요약 삼 ·모시 ·노(실 ·삼껍질 ·헝겊 ·종이 등으로 가늘게 꼰 줄) 등으로 삼은 신.
미투리

미투리

신’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구(屨)이며, 마혜(麻鞋) ·망혜(芒鞵)로 표기한다. 형태별로 보면 이(履:신목이 낮은 신발의 총칭)의 일종이다. 짚신보다 고급품이나 피혁제 ·포백제(布帛製) 신이 출현함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서민층 남녀가 사용하였고, 섬세한 제품만을 사대부 계층에서 편복에 사용하였다. 미투리를 통칭하여 삼신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세분하면 삼신 ·절치 ·탑골치 ·무리바닥 ·지총미투리 등의 명칭이 있다. ① 삼신:재료가 주로 생삼인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② 절치:거칠게 삼은 미투리로 절에서 신은 데서 비롯한 명칭이다. ③ 탑골치:튼튼하고 잘 삼은 미투리이다. 동대문 밖 탑골에서 삼은 데서 유래한다. ④ 무리바닥:무리(쌀을 물에 불려 갈아서 체로 받쳐 가라앉힌 앙금)를 바닥에 먹인 미투리이다. 고급품이다. ⑤ 지총미투리:종이를 꼬아서 만든 노로 총(미투리의 앞 ·옆쪽에 박힌 낱낱의 올)을 삼은 미투리이다.

참조항목

짚신

카테고리

  • > >